SK바이오팜 뇌전증 신약 ‘엑스코프리’ FDA 승인…독자개발 신약으로는 한국 최초 성과
성공확률 낮지만 혁신 신약 ‘한우물’…”최 회장 비전과 지속 투자 없었다면 불가능”
신약개발부터 글로벌 마케팅까지 수행하는 종합제약사 도약…“‘신약주권’ 실현할 것”

최태원 SK그룹 회장(사진=SK 제공)
최태원 SK그룹 회장(사진=SK 제공)

[소비자경제신문 박은숙 기자] “1993년 신약개발에 도전한 이후 실패를 경험하기도 했지만 20년 넘도록 혁신과 패기, 열정으로 지금까지 성장해 왔습니다."

"글로벌 신약개발 사업은 시작할 때부터 여러 난관을 예상했기 때문에 장기적인 안목에서 꾸준히 투자해왔습니다. 혁신적인 신약 개발의 꿈을 이룹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난 2016년 경기도 판교 소재 SK바이오팜 생명과학연구원을 찾아 구성원에게 한 말이다.

SK바이오팜은 22일 새벽, 뇌전증 치료제 엑스코프(성분명: 세노바메이트)가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신약승인을 받았다.

이를 통해 SK바이오팜은 국내 최초 후보물질 발굴부터 임상개발, 신약 허가까지 전 과정을 독자적으로 수행한 제약사가 됐다.

신약개발은 시간과 비용 많이 든다. 10년에서 15년 기간, 수천억 원 이상의 비용이 투입되나 5천~1만 개 후보물질 중 단 1~2개만 신약으로 개발될 만큼 성공을 확신할 수 없다. 연구 전문성은 물론, 경영진의 흔들림 없는 육성 의지가 바탕이 되지 않으면 불가능한 영역이다.

아울러 업계에서는 뇌전종 치료제 엑스코프리 신약개발은 최 회장의 뚝심과 투자 철학이 없었다면 빛을 볼 수 없었다고 평가했다.

SK는 1993년 대덕연구원에 연구팀을 구성해 제약사업에 발을 들였다. 인구 고령화 등으로 바이오·제약 사업은 고부가 고성장이 예상되는 영역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자체개발 신약 없던 한국에서는 ‘신약주권’을 향한 도전이었다.

SK 관계자는 “대부분 국내 제약사들이 실패 확률이 낮은 복제약 시장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SK바이오팜은 오직 혁신 신약개발에만 매달렸다”면서, “단기 재무성과에 목마른 기업 입장에서 큰 결단이었다. 이를 가능하게 했던 것이 최 회장의 비전과 확고한 투자 의지였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바이오 사업의 육성을 통해 2030년 이후에는 바이오 사업을 그룹의 중심축 중 하나로 세운다는 장기 목표를 지난 2002년 제시했다.

신약개발에서 의약품 생산, 마케팅까지 모든 밸류체인을 통합해 독자적인 사업 역량을 갖춘 글로벌 바이오·제약 기업을 키워낸다는 비전이다. 이에 따라, 같은 해 생명과학연구팀, 의약개발팀 등 조직을 통합했다. 동시에 다양한 의약성분과 기술 확보를 위해 중국과 미국에 연구소를 세웠다.

최 회장은 2007년 지주회사 체제 전환 이후에도 신약개발 조직을 따로 분사하지 않고 지주회사 직속으로 했다. 그룹 차원에서 투자와 연구를 지속하게 한 것 역시 최 회장의 신약개발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신약개발이 단기 실적 압박에서 벗어나 지속적인 투자와 장기적인 비전이 담보돼야 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성공에 대한 불확실성 속에서도 SK는 최 회장의 강력한 의지에 따라 수천억 규모의 투자를 지속했다. 임상 1상 완료 후 세계적인 종합제약업체인 존슨앤존슨에 기술 수출했던 SK의 첫 뇌전증치료제 ‘카리스바메이트’가 2008년 출시 문턱에서 좌절한 적 있다.

최 회장의 뚝심은 흔들리지 않았다. 오히려 그해에 SK바이오팜의 미국 현지법인 SK라이프사이언스의 R&D 조직을 강화하고 업계 최고 전문가들을 채용함으로써 독자 신약개발을 가속화 했다. 이번에 FDA 승인에 얻은 엑스코프리 임상에서 SK라이프사이언스가 주도했다.

이후 SK는 신약개발 사업의 집중 육성을 위해 2011년 사업 조직을 분할 해 SK바이오팜을 출범시켰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Frost&Sullivan)에 따르면, 세계 뇌전증 치료제 시장은 2018년 61억달러(약 7조 1,400억원) 규모에서 2024년까지 70억 달러(약 8조 2,000억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SK는 엑스코프리로부터 발생되는 수익을 기반으로 제2, 제3의 글로벌 혁신 신약개발을 지속할 방침이다.

◇ 혁신개발 이어 의약품 생산사업도 소홀하지 않아

최 회장은 의약품 생산사업에도 공을 들였다. 2015년 SK바이오팜의 원료 의약품 생산 사업부를 물적 분할해 SK바이오텍을 설립했다. SK바이오텍의 전신인 원료 의약품 생산사업부는 1998년부터 특허 만료 전 고부가가치 원료 의약품을 글로벌 제약사들에 수출해온 경쟁력에 주목한 것이다.

SK바이오텍은 2017년 글로벌 메이저 제약사인 BMS(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의 아일랜드 생산시설을 통째로 인수했다. 국내 원료 의약품 생산 기업이 해외 생산설비를 인수한 최초 사례였다.

2018년에는 SK가 미국의 위탁 개발·생산 업체인 앰팩(AMPAC) 지분 100%를 인수하는 글로벌 인수합병에 성공했다. 인수 1년만인 지난 6월 앰팩 버지니아 신생산 시설 가동을 시작되면서 한국-미국-유럽의 글로벌 생산기지가 모두 전면 가동에 돌입했다.

지난 10월 SK는 의약품 생산법인 세 곳을 통합해 SK팜테코를 설립했다. SK바이오텍과 SK바이오텍 아일랜드, 앰팩 등 여러 지역에 분산돼 있던 의약품 생산사업의 지배구조를 단순화해 시너지와 효율을 극대화한다는 포석이다.

이항수 SK수펙스추구협의회 PR팀장은 “SK의 신약개발 역사는 리스크를 두려워하지 않고 새로운 도전을 거듭해 혁신을 이뤄낸 대표적 사례”라며 “명실상부한 글로벌 제약사의 등장이 침체된 국내 제약사업에 큰 자극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