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부품 국산화 비율 높아 소재 수급 OK
협력사 공급망 및 친환경차 일부 부품 등은 영향 우려
수소차 소재 국산화 박차...하이브리드차량 반사 이익 기대도

19일 오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2019 대한민국 수소엑스포'에서 주요 인사들이 현대자동차의 수소자동차 옆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자동차 업계는 일본발 수출 규제 이슈에 대응할 기초 체력이 튼튼하다. 사진은 '2019 대한민국 수소엑스포'에서 주요 인사들이 현대자동차 친환경차 옆에서 기념촬영 하는 모습(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소비자경제신문 이한 기자]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가 자동차 등 다른 업계로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 속에도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일본발 변수에 대응할 기초체력이 비교적 튼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 역시 일본 출장을 다녀왔다. 그의 출장은 대한양궁협회장 자격으로 선수단 격려를 위해 일본을 찾은 것으로 수출 규제 움직임과도 무관하지 않은 방문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의 전언이다. 

그렇다면   현대기아차그룹은 현재 일본의 수출 규제 확대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는 상황에서 자동차 부문까지 수출 규제의 범위를 넓힐 경우 영향권에 얼마나 자유로울까.

문제는 부품 수급인데 현대차와 기아차는 상당수 핵심 부품을 그룹 계열사를 통해 자체 조달하고 있다. 전체 부품 국산화율은 90%를 넘는다. 사실상 국내 자동차 산업 생태계가 현대·기아차, 현대모비스 등을 중심으로 구축된 상태다. 공급망이 안정적이고 탄탄하다.

물론 영향이 없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을 것이다. 일본의 수출 규제가 강화될 경우 부품을 공급하는 협력사들이 영향을 받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완성차 업체로의 부품 공급에 일부 차질이 우려될 염려는 있다. 정 부회장의 일본 방문도 협력사 공급망을 포함한 여러 부분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함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 부품 국산화율 높고 대체재 충분...일본 영향 적다

업계에서는 현대·기아차의 경우 소재 및 부품 국산화율이 높고 일부 일본산 부품의 경우 대체재가 충분해 수출 제재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협력사들이 일부 소재나 공작기계를 일본에서 공급받는 경우가 있으나, 완성차에 직접 수입해 사용하는 부품은 드물다. 수출 규제가 확대 되더라도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영향은 받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증권가도 이와 같은 전망을 내놨다. 김진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일본 수출규제와 시장’ 보고서에서 현기차의 수출 규제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내연기관차 부품의 국산화율이 1980년대부터 이미 90%에 도달했다”고 전제하면서 “무역마찰에 따른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언급했다.

오히려 최근 현대차가 출시한 신형 쏘나타 하이브리드가 수출 규제 및 일본 제품 불매 운동 등으로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기대감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일본 차량 점유율이 높았기 때문이다.

신형 쏘나타 하이브리드는 현대차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능동 변속제어 기술(ASC)과 태양광 배터리 충전 기술 등을 탑재했고 국산화율도 높아서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영향력이 미미할 전망이다. 실제로 올 상반기 하이브리드 차 국내 판매량은 전년 동기보다 17.4% 성장하는 등 시장 상황도 좋다.

다만, 현대차가 세계 최초로 양산한 수소전기차 '넥쏘' 등 친환경 차는 일본발 영향이 우려된다. 수소연료탱크 소재를 일본에서 공급받고 있어, 생산 확대에 영향이 있다는 우려다. 국내에서 탄소섬유를 최초 개발해 생산 중인 효성이 최근 현대차에 공급하기 위한 탄소섬유 인증 절차에 들어간 상태인데 연말 전후에 공정에 투입될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크로아티아 전기차 업체 리막 오토모빌리와 협력 계약을 체결한 현대차그룹 정의선 수석부회장. 사진=현대자동차 제공
크로아티아 전기차 업체 리막 오토모빌리와 협력 계약을 체결하는 현대차그룹 정의선 수석부회장 (사진=현대자동차 제공)

◇ 수소전기차 등 친환경차 소재 변수 우려...국산화 박차

자동차 업계에서는 일본 정부가 수소전기차 사업을 육성하기 위해 한국 견제에 나선다면 탄소섬유 수출 규제 카드를 꺼낼 수 있다고 본다. 최근 일본도 수소차를 미래 핵심사업으로 선정해 육성중이기 때문이다.

일본은 지난달 오사카에서 열린 G20정상회의에 앞서 G20 에너지환경 장관회의를 열고 수소경제와 수소연료, 수소전기차 개발 등을 논의했다. 당시 일본은 미국, 유럽연합과 수소에너지 공동 연구를 위한 3자 협력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내년에 열릴 도쿄올림픽을 ‘수소올림픽’으로 만들겠다는 선언도 내놓은 상태다.

이 지점에서도 긍정적인 요소는 있다. 아직은 수소전기차가 대량생산 차종이 아니어서 단기적으로 핵심소재 공급에 차질이 생겨도 대체 공급처를 구할 시간이 있다. 자동차업계 한 관계자는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수소전기차는 아직 미래산업이고 당장 주력 양산 차종이 아니어서 탄소섬유 수급 일정 등에 변수가 생겨도 영향력이 크지는 않다”고 말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친환경차 부품 및 관련 소재 국산화에 나설 계기로 삼자는 목소리가 높다.

일본발 소재 이슈가 어려 업계로 확대될 것이 우려되는 가운데, 완성차 업체들이 관련 이슈를 당당히 극복하면서 산업계의 중심을 잡아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