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기가 밥상부터 외식물가 등 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전반적으로 침체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양상을 띄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소비자경제신문=최빛나 기자] 올해 경기가 밥상부터 외식물가 등 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전반적으로 침체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양상을 띄고 있다. 

서민들의 주식인 쌀, 채솟값과 치킨, 커피 등의 프랜차이즈 메뉴까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비자들의 체감 경기는 더욱 얼어붙게 됐다. 
 
17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에 따르면 지난 10월 산지 쌀값은 80㎏당 19만3,656원으로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1년 전의 15만1,013원과 비교하면 28%, 지난해 최저치였던 6월의 12만6,767원보다 무려 52.7%나 오른 가격이다.
 
이는 2013~2016년 풍작으로 한때 12만 원대까지 내려앉았던 쌀값을 회복시키기 위해 지난해 정부가 시장 격리 물량을 확대한 데다, 작년과 올해 쌀 생산량이 줄어든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쌀값이 급등하자 자영업자와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불만이 터져 나왔고,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지난달 성명서를 내고 “소비자들은 ‘농민 보호’라는 거대 담론 아래 쌀 가격 논의에서 소외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부가 지난 4월과 6월에 이어 지난달에도 비축미를 방출했으나 당장 쌀값이 떨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쌀 생산량이 386만8,000t으로 작년보다 2.6% 감소한 데다 쌀값 추가 상승을 기대한 농민들이 출하를 미루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는 사상 유례없는 폭염을 겪으면서 시금치, 배추 등 채솟값도 상상초월로 치솟았다. 한국은행의 8월 생산자물가지수가 2014년 8월 이후 4년 만에 최고치인 105.43까지 오른 가운데 시금치, 배추, 무 등 농산물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시금치가 한 달 새 222.9%, 배추는 91%, 수박 50.4%, 무 29.1% 가격이 올랐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가 추석을 앞두고 평년보다 서둘러 추석 성수품 수급 안정 대책을 추진했으나,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조사결과 추석 차례상 비용이 지난해보다 4.1% 올랐다.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도 급격히 올랐다. 치킨 프랜차이즈 BBQ는 지난달 19일 대표 제품 3종의 가격을 1,000~2,000원씩 올렸고, 2,000원 안팎인 배달비를 포함하면 치킨 한 마리 가격이 2만 원대에 진입했다.
 
우유 가격 인상은 단일 제품을 넘어 외식업계 전반까지 ‘도미노 효과’를 일으키고 있다.
 
우유업계 1위인 서울우유는 2013년 인상 이후 5년 만인 지난 8월 흰 우유 1ℓ 제품의 가격을 3.6% 올렸다. 서울우유는 “생산 비용 증가에 따른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말했다. 이어 남양우유가 10월 우유 제품 가격을 4.5% 인상했고, 1ℓ 제품의 용량은 900㎖로 줄여 사실상 10%나 가격을 올리는 효과를 냈다.
 
빙그레는 대표 제품 ‘바나나맛우유’ 가격을 내년부터 소비자가 기준 100원 인상하기로 밝혔다. 우유는 커피전문점에서 원두에 이은 주요 원료로 쓰이는 데다가, 제과제빵 업계에서도 두루 쓰이기 때문에 가격 인상은 식품업계 전반에 미치는 파장이 크다. 실제로 서울우유로부터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방식으로 제품을 공급받아 파는 파리바게뜨는 지난달 우유 제품 가격을 10% 올렸다.
 
원료 가격 인상을 빌미로 과자와 커피전문점 브랜드들도 줄줄이 가격을 올렸다. 농심은 지난달 대표 제품인 ‘새우깡’을 비롯해 19개 제품의 출고 가격을 6.3% 인상했다. 앞서 크라운해태도 지난 5월 13개 제품 가격을 두 차례에 걸쳐 올렸고, 롯데제과는 4월 일부 제품의 가격을 인상했다.
 
이디야커피는 지난 1일부터 70개 음료 가운데 14개 품목의 가격을 인상했고, 엔제리너스는 ‘아메리카노 스몰 사이즈’를 4,100원에서 4,300원으로 올리는 등 17개 품목을 평균 2.7% 인상했다. 매장 수로 업계 1위인 롯데리아 역시 올해 8월 ‘소프트콘’ 가격을 40% 올린 데 이어 13일부터 버거류 11개 제품 가격을 평균 2.2%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관계자는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올해 각종 물가가 급등해 서민들의 지갑이 열리기 쉽지 않았다. 이에 각종 프랜차이즈 뿐만 아니라 밥상을 책임지는 농가까지도 힘든 상황이 그려졌다"라며 "내년에는 이를 대신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과 대안들이 나와야 소비자 물가가 안정을 되찾을 것으로 보여진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