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경제신문=최빛나 기자] 국회가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인 '복합쇼핑몰 월 2회 의무 휴업' 법안을 통과시키면 국내 소상공인들이 '연쇄 피해'를 입게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치권은 '갑' 유통 대기업의 기준점을 마련하려다가 '을'인 입점 소상공인 뿐만 아니라 물건을 납품하는 또 다른 '병' 소상공인까지 타격을 줄 형편이다.

복합쇼핑몰 월 2회 의무 휴업을 핵심으로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은 국회에 계류돼 있다. 이번 정기국회에선 야당의 반대로 논의에서 배제됐다. 그러나 여당이 법안을 밀고 있어 결과는 또다시 뒤엎어 질 수 있다.

<소비자경제>가 지난 10일 스타필드에 입점한 매장의 점주를 만나 인터뷰 한 결과 업종에 따라 적게는 5개에서 많게는 30개 이상의 거래처를 두고 있었다.

패션업종은 동대문 시장 등에서 제품을 공급받거나 직접 가서 물건을 떼오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었다. 푸드코드 쪽은 각 자영업자들이 친한 농장이나 거래처에서 원재료들을 사오거나 공급받는 형태로 이뤄지고 있었다.

업종별로 전체 매출의 30~50% 정도를 납품 업체에 거래 대금으로 지급했다. 이들은 "월 2회씩 일요일에 의무 휴업을 하게 되면 전체 매출의 20%이상이 빠진다"며 "일요일 주말장사를 못하게 되면 거래처 수와 매입 규모를 줄여야 할 수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스타필드 하남의 푸드코트에서 쌀국수집을 운영하는 현모씨는 <소비자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숙주, 양파, 파 등의 원재료 뿐만 아니라 소스, 국물 등의 식자재 업체와 개인적으로 계약했다고 말했다.

현 모씨는 오랫동안 거래해온 단골 업체들로부터 재료를 가져온다. 특히 쌀국수는 단 한 곳에서만 공급받는데 한 달에 500만원어치씩 떼어오고 있다. 현씨는 "개인사업자가 하는 식자재 업체인데, 그 사장님에겐 우리 브랜드가 최대 고객"이라며 "우리가 한 달에 두 번 쉬면 당장 그 업체도 타격이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스타필드에서 푸트 코트 내 중국집을 운영하는 전 모씨는 같은날 <소비자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양파, 파, 춘장, 소스 등까지 다 합치면 약 18개의 이 지역 영세 자영업자들의 납품업체와 함께 하고 있다고 했다. 

전 모씨는 "이 지역의 영세 자영업자의 물건을 납품 하는 이유는 식재료 신선도유지 뿐만 서로 상생하는 방법이다"며 "한 달에 두 번 쉬면 300만~400만원어치 식재료를 덜 사야 한다"고 토로했다.

의류 매장은 원가 비중이 식당보다 커 자영업자 피해가 더 크다.

롯데월드몰에서 어린이 캐릭터숍을 운영하는 점주는 신발, 완구 같은 제조 업체를 포함해 50여개의 거래처를 두고 있다. 월 매출 3000만원 중 물건을 떼어오는 데만 1000만원 이상을 쓴다. 그것도 매달 3000만원을 매달 번다는 것도 일정하지 않지만 어떻게 될지 몰라 물건을 떼오는건 1000만원 이상 쓰기 때문에 이번 개정안이 불안한건 매한가지다.

그는 "단품 위주로 매입하고 있어 거래처가 많다"며 "우리가 몰에서 장사를 해 거래처에선 동네 문방구 같은 곳보다 훨씬 중요한 파트너로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스타필드 하남에서 여성 패션 매장을 운영하는 점주는 월평균 매출 4000만원의 50%인 2000만원을 동대문시장에서 쓰고 있다. 대부분 자영업자에게서 옷을 받아오는 실정이다.

그는 "일요일에 두 번 쉬면 400만원 정도 매출이 빠진다"며 "월급 200만원을 주는 직원 한 명을 줄이고 거래처에서 물건 200만원어치를 덜 사와야 버틸 수 있을 것"이라며 한숨을 쉬었다.

서울ㆍ경기도권 주요 복합쇼핑몰 롯데 월드타워ㆍ은평ㆍ수원ㆍ김포공항몰, 스타필드 하남ㆍ고양ㆍ코엑스에 입점한 소상공인ㆍ중소기업은 1200개에 이른다.

업계 관계자는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보수적으로 한 곳당 10개가량의 협력사와 계약한다고 산정해도 1만개가 넘는 제3의 소상공인과 중소기업들이 피해를 보게 되는 셈"이라며 "월 2회 의무 휴업 법안은 인위적인 규제로 시장 질서를 뒤흔들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