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편의점 (사진=연합뉴스)
서울의 한 편의점 (사진=연합뉴스)

[소비자경제신문=최빛나 기자]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인건비 부담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는 편의점 업계가 안전상비의약품과 ATM, 치안 서비스 등 공공 기능을 강조 한다. 

최근 편의점 점주들이 아르바이트 생들의 고용 문제를 놓고 정부와 각을 세우는 모양새가 대중에게 안좋은 이미지로 비춰졌다는 우려에서다. 

13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최저임금 논란 이후 편의점 브랜드들은 공적 기능과 관련한 서비스 및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 6일 CU는 결제단말기(POS)에 ‘긴급 신고’ 기능을 추가한 ‘POS 긴급 신고 시스템’의 오신고율이 20%대에 불과하다는 자료를 내놨다. CU는 지난해 6월부터 경찰청, 외부 자문 위원 등과 함께 업계 최초로 전국 매장에 해당 시스템을 도입했다.
 
또 올해 5월부터 시행한 ‘미아 찾기 시스템’을 통해 두 달 만에 약 20명에 이르는 어린이, 치매환자, 지적장애인 등을 보호자에게 인계한 성과도 알렸다.
 
세븐일레븐은 오는 16일부터 'KB국민은행 리브'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No카드 무료 출금 서비스'를 시행한다. 이 서비스는 KB국민은행 리브 앱 사용자가 카드나 통장 없이도 계좌번호와 간편번호를 통해 전국 세븐일레븐 ATM기에서 현금을 인출할 수 있다. GS25도 이달 1일부터 KB국민은행 고객들이 매장 내 ATM 기기에서 영업시간 중에는 수수료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편의점 업계의 이와 같은 전략은 최근 약사회와의 안전상비의약품 품목 조정 갈등 시점에 맞춰 이미지를 쇄신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편의점 업계는 안전상비의약품 판매가 공적 기능을 위해 수행한다는 입장이라는 것이다. 
 
한국편의점산업협회는 입장문에서 “전국 3만5000개 편의점은 병원과 약국이 문을 닫는 야간과 휴일에 사회안전망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것은 대한약사회의가 편의점 업계에 "의약품에 대한 탐욕을 부리고 있다"며 편의점 의약품 확대를 저지해 온 것에 대한  반박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약사회와의 안전상비의약품 품목 조정 갈등으로 촉발된 ‘공적 기능’ 수행 홍보 전략은 편의점 업계에는 호재일 수 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업계는 편의점 매장들을 활용한 공적 기능들을 더욱 강조 및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공적기능을 통해 이미지 쇄신을 할 전략을 가지고 있다"라며 "최근 편의점 점포들의 전략은 순기능도 많고 변화 중에 있는 과정일 뿐이다"라고 전했다. 
 
이어 “편의점 본연의 기능은 아니지만 부가적 기능 측면에서 간접적으로 점포 인프라를 활용한 재난구호, 단기알바 수용 능력 등 공적기능들을 봐 주셨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