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17.3% 불과 전국 최하위…송옥주 의원 "내진보강 로드맵, 예산확보 시급"

일본 구마모토 지진 현장. (자료=YTN 방송 캡처)

[소비자경제=유경석 기자] 지진이 발생할 경우 1501만 명이 식수중단 사태에 처하게 될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송옥주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이 환경부가 제출한 상수도시설 내진현황(2017.9.)를 분석한 결과 전국의 지방상수도 시설 5045개 중 62.9%인 3174개 시설은 내진설계 또는 성능인증이 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 지방상수도 내진율과 단수위험 인원을 추산해 본 결과 내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전북으로 382개 시설 중 66개(17.3%)에 불과했다. 이어 경남 27.2%, 제주 26.4% 등 순이었다. 특히 강원의 경우 내진율은 32.7%에 머물렀고 인구의 71.4%인 99만명이 단수위험에 처해 있었다.

광역 및 지방 상수도의 내진적용 및 강진발생 단수위험 인구. (자료=송옥주 국회의원실 제공)

반면 서울은 121개 시설 모두 내진적용이 돼있어 단수 위험이 없을 것으로 조사됐고, 부산 역시 내진율은 81.8%로 높았다.

실제 강진 발생 시 상수도시설이 손상되고 급수가 중단되는 일이 빈번해지고 있다. 최근 미국, 일본, 뉴질랜드 중국 등지의 강진 시 상수도 피해 사례를 보면 저장탱크의 파손, 수직 단차로 인한 배관로 손상 등 취약부와 매설관로 피해로 인해 급수가 중단되는 사태가 일어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6년 9월 발생한 경주 지진(규모 5.8)으로 인해 경주시 인근 3개 정수장에서 벽체 균열 등의 피해가 있었고, 포항에서는 급수관로 일부 구간이 파손되는 등 총 71건의 상수도관련 피해가 확인되었다.

송옥주 의원은 "우리나라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에도 국민의 생존시설인 상수도가 지진 대비가 안돼 있다는 것은 큰 문제"라며 "환경부는 비상급수시설 관리, 상수도시설 기술진단, 내진보강 로드맵과 예산확보 등 시급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