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확대…생명보험 사회공헌재단 의료비 지원

자살 시도자들의 마음을 보듬는 응급실이 늘어난다.

[소비자경제=이창환 기자]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던 사람들의 마음까지 보듬어 주는 응급실이 늘어난다.

보건복지부는 2일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총 27개에서 42개 응급실로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은 병원 응급실에 배치된 전문 상담인력이 자살시도자에게 전화 또는 방문상담을 제공해 자살 재시도를 예방하는 사업으로 지난 ‘13년 8월부터 ’15년까지의 사업 분석결과, 서비스 수혜자의 사망률은 5.9%로 非수혜자의 사망률 14.6%에 비해 자살시도자의 사망률을 절반이하로 낮춘 성과가 입증됐다.

보건복지부는 “사업수행기관을 공모·심사한 결과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국립중앙의료원 등 15개 응급실에서 추가 실시하게 됐다”고 전했다.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시행하는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는 치료비도 지원받을 수 있으며 생명보험 사회공헌재단의 기금으로 지원되는 치료비는 1인당 최대 300만원 까지 지원되는데, 총 지원액이 지난해 2억5000만원에서 올 해 4억원으로 확대됐다.

전북 익산시 20대 여성 A씨는 14살 때 어머니가 집을 나간 후 알코올중독 아버지와 어렵게 살다 아버지마저 돌아가시자 자해와 자살시도를 반복하던 중 응급실에서 만난 사례관리자의 도움으로 의료비를 지원받고 소식이 끊어진 어머니를 다시 만날 수 있게 됐다.

그는 정신건강의학과 입원치료와 매일같이 전화 상담을 받은 결과 지금은 아르바이트를 하며 사회복지사와 미용사가 되겠다는 꿈을 키우고 있다.

또 경기 부천 50대 여성 B씨는 10년 전 이혼 후 일용직으로 일해 왔으나 손목인대가 손상돼 일자리를 잃고 자살을 시도했다. 사례관리자는 자살시도로 입은 상처를 치료할 비용도 없이 무작정 퇴원한 B씨와의 상담을 진행해 정신건강증진센터로 연계했다.

이후 그는 정신건강증진센터의 도움으로 우울증을 치료받고, 생계비 지원과 의료급여 대상으로 선정된 B씨는 안정을 되찾아가고 있다.

경기 고양 10대 청소년 C군은 부모님 이혼 후 재혼한 아버지와 생활하다 아버지가 수감생활을 하면서 가족과 갈등이 깊어져 자살을 시도했다. 사례관리자는 병원과 정신건강증진센터, 학교와 연계해 C군이 성인이 될 때까지 도움을 받게 해 치료를 무사히 마치고, 생활시설로 옮겨 생활하다 지난 2월 고등학교를 무사히 졸업했다.

제주대 병원 응급의학과 강영준 교수는 “자살시도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들은 자살시도로 인한 상처나 중독을 치료하는 것 못지않게 사후관리가 중요하다”며 “이 후 다시 극단적인 선택을 하지 않도록 정신과 치료나 사회·경제적 지원 등 근본 문제 해결을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은 “우리나라 자살률이 2011년 31.7명에서 2015년 26.5명으로 감소한 것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정성을 다해 일하는 현장실무자들이 있기 때문”이라며 “생명 살리는 중요한 일을 한다는 사명감을 갖고 일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