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 SK 워커힐면세점 내년 영업 준비하고 있었는데

▲ 롯뎀면세점(출처=포커스뉴스)

[소비자경제=강연주 기자] 기존에 면세점 사업장 한 곳을 빼앗긴 롯데와 SK의 손해가 막대하다. 향후 면세점 사업을 위해 투자를 아까지 않던 중 갑작스러운 폐점을 선고받았기 때문이다. 

14일 면세점 사업자 발표에 대해 일각에서는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행 면세 사업자 선정법이 면세점 사업자로 기존 사업장을 더 이상 운영하지 못하게 된 롯데와 SK의 개별 손실도 막대하지만 국가 관광 안정화 등에도 도움을 주지 못는 이유다.

기존 사업자를 탈락시키고 새로운 사업자를 선정하는 것이 독과점 방지나 견제를 통한 경쟁력 제고라는 측면에는 긍정적일 수 있으나 면세 및 관광사업 발전과 지속성에는 방해가 된다는 것이다. 면세점 사업은 인프라와 네트워크 형성에만 오랜 시간이 걸려 5년 주기로 사업자가 바뀐다면 위험이 클 수 있다.

◆ 롯데면세점 세계 3위, 월드타워점은 국내 3위 폐점… 관광사업에도 불리

실제 이번에 재 허가에 실패한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은 연간 매출이 5000억, 투자 3000억을 기록했다. 지난해는 4820억원 매출을 기록하면서 서울 시내 면세점 가운데 매출 3위를 차지했다. 1위는 롯데면세점 소공점이었고 2위는 장충동의 신라면세점이다. 또한 2004년과 비교했을 때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은 규모가 3배 이상 성장했다.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 대신 영업권을 얻은 두산이 과연 5년 안에 이런 실적을 낼 수 있을지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면세사업을 오랫동안 해온 롯데와 달리 두산은 면세점은 물론 유통 경험이 짧다. 물류에 있어서도 롯데에 한참 뒤쳐진다.

현재 월드타워점 매장에는 롯데면세점과 협력업체 직원을 합쳐 1200명이 종사하고 있다. 납품 생산업체까지 협력업체 범위를 넓히면 5200여명이 일을 하고 있는 것이 된다. 롯데도 월드타워점에 1년 동안 수조원을 투자했다. 어제 면세점 심사 결과로 월드타워점의 투자, 매출이 물거품이 됐고 협력업체와 근로자들도 막대한 피해를 받게 됐다.

◆ SK그룹, 워커힐면세점 1000억원 투자해 관광산업 계획 수포로…

▲ (출처=워커힐면세점)

SK네트웍스는 올해 면세점 재 승인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고 약 1000억원을 들여 매장 면적을 1만2384제곱미터(3746평)로 확장해 연말에 개장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신세계에 면세점 사업자를 뺏겨 그간 들인 투자가 물거품이 돼 버렸다. 워커힐 면세점은 SK그룹이 1973년 워커힐 호텔을 인수한 뒤 1992년부터 호텔 내에서 시작됐다.

워커힐은 숙박, 카지노, 쇼핑을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는 도심형 복합 리조트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더욱이 명동 상권에 집중돼 있는 서울 시내 관광에서 유일하게 강동 지역에 위치해 균형 발전에도 일조해왔다.

이번 면세점 사업 심사에서도 SK네트웍스는 워커힐 면세점을 유지하는 동시에 동대문 신규 면세점 특허를 때내 2020년까지 워커힐과 동대문을 연결하는 동부 관광벨트 조성 계획을 밝혔었다.

사회환원 공약도 제시했다. 면세점 영업이익의 10%를 사회에 환원하고 그간 도태되던 동대문 상권과 상생을 위해 '11대 상생 약속'도 제시했다.

특히 이번 광복절 70주년을 기념해 SK그룹 최태원 회장이 사면되면서 회장 사재 60억원을 포함해 총 100억원을 청년펀드에 기부하는 등 SK그룹은 면세점 사업에 대한 의지를 보여왔다.

◆ 학계 "면세점 사업자 선정 방법 바꿀 필요 있어"

이러한 문제로 업계와 학계는 현재 면세점 심사 제도를 바꿔야한다고 주장한다. 면세점이 안정적으로 자리잡기 위해 국내 관광 활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기득권을 인정하는 기간을 적어도 5년 이상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욱이 일각에서는 기존 면세사업자의 투자와 노하우를 인정하고 신규 사업자의 참여를 늘리기 위해 면세 시장의 문턱을 낮추거나 없애야 한다고 말하기도 한다.

지난달 15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주최로 열린 '면세점 시장구조 개선 공청회'에서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늘어나는 관광객 수에 비해 면세점 수가 적다며 면세점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정재완 한남대학교 무역학과 교수도 면세점의 독점 시비는 사업자 진입을 제한하기 때문이라며 진입 장벽을 철폐해야 한다고 했다.

면세점 특허 제도를 선별적으로 유지하되 기준을 바꾸자는 입장도 있다. 사업자 선정 방식을 업체가 스스로 수수료를 적는 경매방식을 활용하면 국가 재정 수입도 늘리며 효율적으로 사업자를 선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면세업계는 내년과 내후년 김포공항 면세점, 서울 롯데 코엑스점 등 특허가 만료돼 또 다시 면세 경쟁이 치러지게 된다며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강연주 기자 npce@dailycnc.com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