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 식탁 언제쯤? 구멍난 방사능 물질 검사에 국민 불안 지속

▲ 가락시장의 수산물 코너 (출처=포커스뉴스)

[소비자경제=강연주 기자]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발생한지 4년이 흘렀지만 국민들 대다수는 여전히 방사능 수산물에 대해 불안해 하고 있다. 더욱 까다로워졌다는 정부의 방사능 통관 기준에도 불구하고 원산지를 속이는 사례가 적발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수산물 방사능 공포에 대해 국민들이 큰 걱정은 할 필요가 없다고 조언한다. 방사능에 피폭되는 자체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우리나라 주변 해양 수질이 양호한 편에 속해 우려할 수준은 아니란 것이다.

본지는 국내 해양 먹거리 검사 기준은 어떠하고 외국은 국내 검사기준과 무엇이 다른지 알아봤다. 더불어 국민들이 여전히 방사능 수산물을 불안해하는 이유와 안심하고 먹기 위한 방법은 없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방사능 식품 먹어도 인체에 크게 유해하지 않아

일반적으로 방사능 물질은 한 번 축적되면 쉽게 배출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사고가 난지 오래됐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의 불안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축적된 방사능 물질이 빠져나가는 시간을 학계는 방사능 물질 반감기라 부른다. 그리고 다시 물리적 반감기, 생물학적 반감기, 유효반감기로 나뉜다.

사람의 몸에 축적된 방사능 물질이 해소되는 기간은 유효반감기로 측정한다. 유효반감기는 성질 그대로의 반감기와 소화 및 배변 활동을 통한 배출을 고려한 기간이다. 방사능 물질 중 하나인 요드-131의 유효반감기는 7.6일, 세슘-137은 108일, 스트론튬-90은 16년, 플루토늄-239 198년이다.

방사능 물질에 오염된 식품을 장기간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구토, 탈모와 같은 신체적 이상 또는 급성방사선증후군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방사능 노출 식품을 먹었다고 해도 인체에 크게 유해하지 않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식품을 통해 인체에 영향을 주는 만큼의 방사능 피폭이 되려면 매일 상당한 양의 해당 식품을 먹어야 하지만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에 따르면 가장 높은 양의 방사선량이 나오는 이바라기현의 시금치 1kg을 안 씻고 한 번 먹을 경우 X선 검사의 1/2 만큼의 방사능에 노출된다. 이 시금치를 1년 동안 1kg을 매일 먹으면 허용치의 312배 피폭을 당하지만 그런 경우는 없고 시간이 흐를수록 반감기에 따라 축적량이 줄어든다.

몸 안으로 들어온 세슘은 110일이 지나면 절반으로 줄어들고 1년이 경과하면 대부분 몸밖으로 배출된다. 요오드의 경우 8일이면 절반 이상이 몸 밖으로 빠져나오고 이후 더 빠른 속도로 감소한다.

◆ 식약처 방사능 기준, 다른 국가에 비해 까다로워

▲ 주요 국가와 한국의 방사성 세슘 기준 비교 (출처=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처는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기 위해 수입 및 국내 유통 농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 결과를 2주 단위로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고 있다. 미세한 양의 방사능이 검출된 경우 그 수치까지도 전부 기록에 남긴다.

수입산의 경우 약간의 방사능 물질이 검출된 경우라도 비오염증명서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어 오염 수산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국내 세슘 방사능 기준도 타 국가에 비해 훨씬 엄격한 편이다. 한국은 방사성 세슘이 100베크렐(Bq/kg) 이상 검출될 경우 비오염증명서를 제출하고 증명되지 않을 경우 돌려보내고 있다. 이는 국제 권장 기준(Codex)보다 10배 엄격한 수준이다. 미국은 1200베크렐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EU는 500베크렐을 기준으로 한다.

정부는 방사능 사고가 발생했던 후쿠시마현 인근 수산물 반입을 금지하고 있다. 반면 에콰도르, 말레이시아, 콜롬비아, 페루, 멕시코, 캐나다, 미얀마 등 11개 국가는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있다.

정부는 일본산뿐만 아니라 태평양 지역 수산물에 대한 검사도 전체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식약처는 수입이 많은 명태, 고등어, 꽁치 등 6개 어종에 대한 방사능 검사를 별도로 진행한다. 그 결과 현재까지 총 5건에서 미량의 기준치 이하 방사능 물질이 발견됐다.

식약처 김양수 주무관은 “수입 수산물은 매 수입 건이 발생할 때마다 방사능 검사를 하고 있다. 그리고 그 결과는 모두가 볼 수 있도록 수치까지 공개한다. 또한 일본산은 후쿠시마현 인근 8개 현 수산물에 대한 수입을 일절 금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 통관기준 까다롭지만 통관검사는 허술

그러나 식약처의 까다로운 방사능 통관기준에도 불구하고 후쿠시마 인근 수산물이 일본 내 다른지역 수산물로 둔갑해 수입되는 사례가 적발돼 문제가 커지고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장하나 의원이 관세청에 요청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수입금지 지역인 아오모리현 수산물을 훗카이도 지역으로 원산지를 위장해 국내로 반입하려던 업체가 적발됐다.

이 업체는 가리비 7톤을 위장 수입하려 했으나 적발돼 전량 반송됐다. 더욱이 위장 수입 당시 정부 적발이 아닌 익명의 제보로 적발돼 검사절차의 허술함이 여실히 드러나기도 했다.

실제 최근 5년 동안 수산물 원산지 둔갑 건수는 765건이나 됐다. 그 중 일본산은 122건에 이른다.

식약처의 검사 방법도 전량 검사가 아닌 샘플 검사로 이뤄지고 있었다. 모든 수입 건에 대해 방사능 물질 검사가 이뤄지고 있는 것은 맞지만 1건에 모든 수산물이 하나하나 검사되는 것이 아닌 샘플 추출을 통해 일부에만 진행되는 것이다.

샘플 검사는 수입 건별로 모두 같은 곳에서 잡았다는 전제 하에서만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그러나 방사능에 오염된 원산지가 다른 수산물이 섞여 있을 경우 빈틈이 생긴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들은 일본산 명태 등이 러시아산으로 둔갑될 가능성을 제기한다.

더욱이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TPP에서 일본과 협상이 이뤄질 경우 방사능 위험이 있는 농수산물에 대한 수입 규제가 완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 방사능 불안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 한국 동해 및 남해와 일본 해역 해류 (출처=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처에서 지난 9월 보건복지위원회에 전달한 ‘방사능 국민 인식도 조사 위탁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여전히 국민들은 일본산 수산물을 꺼리고 있었다. 응답자의 85.9%가 일본과의 무역마찰을 감수하더라도 현 수준과 비슷한 수산물 수입규제를 지속해야 한다고 답한 것이다.

수입산이든 국내산이든 수산물을 전혀 사지 않는 국민도 5.6%였다. 또한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더라도 일본산 수산물을 사지 않겠다는 국민은 68.8%였다. 사겠다고 응답한 국민은 10.3%다. 정부의 방사능 관리에 대해 불신하는 국민도 42.6%였다.

서울 목동에서 간호사로 일하고 있는 정모씨(35세·여)는 “생선을 고를 때 일본산은 절대 사지 않는 편이다. 수입산도 되도록 사지 않고 국내산만 구매하고 있다”고 말했다.

불안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고등어, 갈치 등 한국인이 많이 먹는 주요 어종은 국내 해역에서 잡힌 것을 구매하는 것이 좋다. 이들 어종은 일본 해역과 국내 해역이 교류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해류로 후쿠시마 바닷물은 국내 동해와 남해로 직접 흘러들어가지 않는다.

수산물에 대한 불안은 가정에서보다 식당, 급식 등에서 더욱 높다. 소비자가 식자재를 직접 구매해 조리한 것이 아닌 해당 업체에서 대량으로 구매해 조리된 음식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들 식품에 소비자가 직접 원산지나 유통과정을 알아보기 어려운 점도 불안을 높인다.

이에 급식 및 식품업체는 자체 기준을 갖고 자료 검증과 MD 확인을 하는 등 노력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병원, 학교, 회사 등 900여개 업장의 급식을 담당하는 업계 관계자는 “수산물에 대한 품질과 안전성에 대해 자사 자체 기준을 두고 공개입찰을 하고 있다. 수입산의 경우 기존 회사 자료를 통해 검증을 하고 MD가 직접 확인 작업해 들여온다”고 말했다.

급식을 담당하는 영양사가 없는 곳도 있다. 바로 소규모 어린이집이다. 이러한 어린이집에서는 전문 영양사가 아닌 어린이집 원장이 직접 식재료를 구입하는 경우가 많다.

전국 어린이집은 모두 4만3700여곳이다. 이곳에서 매일 약 150만명의 어린이가 한 끼 이상의 밥을 먹는다. 이들 업체는 교육청의 급식 식재료 검사를 받지 않고 전문가가 없어 식재료 안전 확보에 취약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식약처는 100명 미만 어린이집 급식을 따로 관리한다. 식중독 예방에 대한 관리나 교육은 이뤄지고 있으나 방사능 식재료에 대한 검사나 관리 기준은 없는 것이 현실이다.

경기도 오산시에서 어린이집을 운영하는 최모씨(50세·여)는 “주로 대형마트나 시장에서 많이 산다. 아이들이 먹는 것이기 때문에 집에서 먹는 것처럼 국산만 산다거나 나름대로 조심하고 있다. 그러나 방사능에 대한 안내문이나 방법 같은 것은 알려주지 않아 모른다”고 말했다.

 

강연주 기자 npce@dailycnc.com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