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가 소비자행정을 본격적으로 추진한 지 20년이 지났지만 조직, 인력, 예산 등 행정 기반이 여전히 열악한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이 2014년 지역 소비자행정 현황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시·도에서 소비자행정은 본청의 '과' 단위 전담 부서조차 없이 물가관리의 부수적 업무로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시책을 수립하는 '소비자정책위원회'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는 시·도는 절반(8개)에 불과하며, 3개 시·도는 작년 한 해 동안 소비자정책위원회를 한 번도 개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4월말 기준, 16개 시·도 본청에서 소비자행정을 담당하는 공무원은 임기제 공무원(16명)과 행정직 공무원(25명)을 모두 합쳐 41명으로 시·도당 2.6명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실상은 시·도당 1명꼴의 임기제 공무원이 지방자치단체의 소비자행정을 이끌고 있는 형편이다.

전국 시·도 소비생활센터에 근무하는 상담원은 모두 34명으로 2012년에 비해 5명(12.8%)이 감소하였고, 이 가운데 12명(35.3%)은 비상근이다.

2014년도 16개 시·도의 소비자행정 예산은 모두 합쳐 27억 7,000만 원(시·도 평균 1억 7,300만 원)으로, 2년 전 33억 8,000만 원에 비해 무려 16.9%나 감소하였다.

또한 시·도 소비자행정 예산의 46.6%는 지역의 소비자단체에 대한 지원금으로 쓰이고 있어, 자체 사업 예산은 1억 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관련 기관 간 협력 또한 단순 지원이 많고 중앙과 연계가 미흡한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피해의 신속한 구제와 예방을 위해서는 지역과 중앙, 민간과 공공부문의 관련 기관 간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행정 분야에서 16개 시·도가 정부부처, 한국소비자원, 기초자치단체, 소비자단체 등과 협력한 건수는 2013년 194건으로 전년도(161건)에 비해 20.5% 증가하였다.

  
▲ 지역 소비자행정 협력 유형 (자료제공: 한국소비자원)

그러나 최근 3년간의 협력 내용을 보면 지원(74.3%), 공동사업(19.9%), 업무위탁(3.2%)의 순으로, 협력의 중심이 '사업'보다는 인력, 예산, 자료 등의 '지원'에 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요 협력 대상은 소비자단체(48.5%), 한국소비자원(14.7%), 지역 대학 및 연구소(10.5%) 등의 순이었으며, 협력이 중앙단위 기관(19.1%)보다는 지역단위 기관(73.6%)에 집중되어 있어 균형 있는 소비자행정의 추진을 위한 중앙과 지역 간의 협력과 정책적 연계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지역 소비자행정을 추진함에 있어 예산과 인력 확보에는 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한 만큼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중앙단위와의 정책적 연계를 강화하고, 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협력 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협력을 위해 지역기관과 중앙부처가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적 성격의 협의회를 구성·운영할 것을 각 시·도에 정책 건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고유진 기자 npce@dailycnc.com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