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구민들과 시민사회단체들이 서울시가 추진 중인 용산정비창 부지에 지어질 국제업무지구 개발을 반대하고 나섰습니다. 

참여연대와 빈곤사회연대, 홈리스행동 등 27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용산정비창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는 16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세훈 서울시장이 과거 재임 시절 추진하다 실패한 투기 개발을 재추진하려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과거와 같은 방식으로 공공부지 개발을 민간이 주도하게 된다면 국민의 공분을 산 대장동 사태와 다름없는 방식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공대위는 이미 인천 송도 등 국제업무지구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공공부지를 상업지구 개발용도로 이용하는 것은 주택 사정이 열악한 용산구민들을 무시하는 처사라면서 건설사들과 전문가들도 실효성이 없다고 판단된 사업을 시작한 것은 용산 일대의 부동산 가격을 올리기 위한 투기성 개발의 성격을 띄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공대위는 용산정비창과 캠프 킴 등 넓은 공공부지 이용에 대해 아파트와 같은 공공주택의 개발 및 보급이 더 시급하다고 촉구했습니다. 공대위가 주장한 바에 따르면 서울시 무주택 가구 비중은 60%로, 특히 용산의 경우 66%가 무주택자이고 월세 거주자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겁니다. 용산구민들도 직접 자리에 나와 열악한 주택 사정을 밝히고 서울시가 10년전 용산 참사를 다시 일으키려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청라· 송도 국제업무지구는 지금 입주율이 50%도 안 됩니다. 아직도 절반 이상의 땅이 국제업무단지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즉 지금의 용산의 국제업무단지 개발은 부동산 투기꾼들의 투기 욕구만 되살리는 꼴입니다.”(이철로 용산시민연대 활동가, 용산세입자모임 간사)

“LH공사가 올해 서울에 공공임대주택 260호를 공급했는데 용산구에 공급한 호수는 0호였습니다. 용산정비창을 임대주택으로 채워야 하는 이유는 바로 이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냥 지역적으로만 보더라도 용산에 임대주택이 너무 없습니다.”(이동현 홈리스행동 상임활동가)

공대위는 기자회견 이후 서울시에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에 반대하는 입장문과 그 이유를 담은 서류를 전달했습니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은 지난 2007년 오세훈 시장 재임 당시 한강 르네상스 마스터플랜으로 사업비 31조원이 동원되었으나 인근에 위치한 용산4 재개발 구역에서 주민 6명이 사망하는 용산 참사 등이 발생하면서 반대의 목소리가 끊이질 않다가 2013년 드림허브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가 부도를 선언하면서 국제업무지구 지구 지정이 해제되고 10여 년간 빈 땅으로 방치되어 왔습니다.

소비자경제신문 권찬욱입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