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브로커’도입, 자기자본 3조 돼야 가능

[소비자경제=유제원 기자]금융당국이 자본시장법 개정의 핵심인 ‘프라임브로커’ 도입과 관련해 각 증권사의 증자를 우선시 하기보다 대형사간 합병을 유도한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은행들의 외화유동성 사정에 대해 ‘최악의 상황’을 대비하겠다는 입장으로 보여진다.

지난 27일 권혁세 금융감독원장은 국회에서 열린 저축은행 국정조사특위 비공개 간담회에서 “금융위원회가 입법예고한 자본시장법 개정안에 따라 프라임브로커 업무 역량을 키우려면 자기자본 규모의 대형화가 필요하다”며 “리딩 증권사간 합병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권 원장은 정부가 강제할 수 없는 부분이지만 금융위가 국내외 경쟁의 구도 틀을 만들은 만큼 대형 증권사간 인수·합병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금융위 관계자는 “프라임브로커가 대규모 인수·합병이나 기업공개(IPO)등 투자은행(IB)업무를 제대로 하려면 많은 금액이 소요된다”며 “증권사 간 인수·합병은 정부로써도 환영할 일”이라 설명했다.

또한 최소 기준을 3조원으로 보고 있을 뿐 현실적으로는 더 많은 금액이 소요될 수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

현재 금융당국이 정한 자기자본 3조원 이상인 증권사는 전무한 상황이다. 국내 상위 5개 증권사의 자기 자본 평균은 2조7000억원 수준으로 증자 또는 M&A를 통한 자본확충이 필요한 상황이다.

자본시장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2조원을 넘는 증권사는 대우(2조8630억원), 삼성(2조7990어원), 현대(2조6890억원), 우리투자(2조6290억원), 한국투자증권(2조4210억원) 순이다.

증권업계는 이들 5개 리딩 증권사 간 초대형 M&A 성사 여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형 증권사 간 합병이 이루어진다면 해외 유수의 투자은행들과 경쟁 할 수 있는 충분한 여력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수·합병에 성사 가능성에 대해서는 일부 업계의 반대여론도 만만치 않다. 자본시장법 개정안 시행까지 6개월 남짓 남은 시점에서 대형 증권사 간 M&A가 단기간 성사되기는 사실상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증권계 관계자는 “자기자본규모 3조원은 예상했던 시나리오였다. 그러나 외국 자본과 경쟁할 수 있는 국내 대형IB를 만들려는 목적은 알겠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크다” 고 지적했다.

한편 대형사 간 M&A보다는 대형사가 중형 증권사들을 흡수하는 형태의 M&A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하나대투증권, 동양종금증권, 대신증권, 시한금융투자, 미래에셋증권 등은 1조원대의 증자 또는 인수합병을 성사시키지 못하면 프라임브로커로써 영업이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생존을 위해서라도 중대한 결단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증권업계 안팎에서 이번 자본규제로 인해 증권사 자체가 대형사와 차별화 된 소형사 구조로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M&A가 본격화 될 경우 대형사 위주의 ‘고착화 현상’이 더욱 심화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대신증권 A 애널리스트는 “결국 중형 증권사는 자본확충이나 M&A를 통해 대형사로 흡수되거나 특화된 소형사로 남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IB로 선정되는 증권사는 새로운 업무영역에 진입, 기존 증권사와는 판도가 다른 길을 걷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제보 yjw@dailycnc.com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