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수색장비 투입 기술적으로 문제 없다.. 의지에 달려"

19일 국회도서관에서 스텔라데이지호 심해수 장비 투입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공청회가 열렸다.

[소비자경제=권지연 기자] 정부가 1년 전 남대서양에서 침몰한 스텔라데이지호 사고 규명에 중요한 단초가 될 심해수색장비 투입에 관한 논의를 시작했다.

19일 오후 국회도서관에서 ‘스텔라데이지호 심해수색장비 투입 검토 공청회’가 이석현·이태규·박완주·이만희 의원이 주최, 해양수산부와 외교부가 주관으로 열렸다.

스텔라데이지호 가족대책위원회와 시민대책위원회는 그간 심해수색장비를 투입해 블랙박스를 회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여왔다.

노후 유조선을 개조하면서 생긴 구조적 결함이 스텔라데이지호의 침몰 원인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런 만큼 명확한 사고 규명이 추후 사고를 예방하는 첫 단추가 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날 허경주 스텔라데이지호 가족대책위원회 공동대표는 스텔라데이지호 선교 옥상에 있는 블랙박스 사진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허 공동대표는 “스텔라데이지호에는 CCTV가 있다. 침몰 당시 영상이 CCTV에 찍혀 블랙박스에 저장됐을 것이다. 이것을 반드시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나는 나에게 무슨 일이 생겼을 때 내 뒤에서 나를 지켜주는 든든한 국가가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싶다”고 호소했다.

◆ 심해수색장비 투입 기술적 문제 없다‥ “의지가 중요”

이번 공청회를 통해 스텔라데이지호 위치 탐색은 물론 블랙박스 회수가 기술적으로 충분히 가능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모아진 만큼 정부의 실행 의지에 촉각이 모아지고 있다.

스텔라데이지호에 심해수색장비를 투입한다면 이는 국내 첫 심해수색장비 투입 사례가 된다.

스텔라데이지호는 길이 312m 폭 58m 높이 29.5m이다. 탐색은 크게 선박의 위치가 어디인지 확인하는 ‘광역 탐색’, 선박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를 살피는 ‘정밀 탐색’으로 이뤄진다. 이러한 단계를 거친 후에 블랙박스 회수 등의 정밀 작업이 가능해진다.

데이비드 갈로 CNN 해양 분석가는 기술적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단 심해 탐색의 목표를 정확하게 세워야 어떤 돌발 상황이 발생해도 놀라지 않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스텔라데이지호의 위치를 파악은 장비 해상도에 따라 약 200~600시간이 소요될 것이란 관측도 나왔다. 문제는 스텔라데이지호가 어떤 모습으로 침몰했느냐에 달려있다.

이판목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블랙박스 위에 있는 탑이 부서지지 않았다면 어떤 ROV로든 접근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만약 배가 뒤집혀 블랙박스가 해저면 아래로 숨어버렸다면 회수는 절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날 공청회가 정부와 선사(폴라리스쉬핑)에 책임을 묻는 자리가 됐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황필규 대한변협 생명안전특별위원회 간사는 “60억 예산이 책정되었다가 없어진 이유에 대한 설명을 제대로 듣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재완 외교부 해외안전관리기획관은 사고해역 인근국인 우루과이, 브라질 등에 실종자 수색 협조를 적극 요청하고, 심해수색장비 투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