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00여억 원 판매한 기은 ‘디스커버리펀드’
美 운용사 채권 회수 못 해 환매 중단 사태
기업銀 ‘1등급 위험상품’ 원금 손실 없는 펀드로 ‘눈속임’
사 측 “한두 명 사례…확인 사실 아직 無” 일축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에서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사기피해 대책위원회가 지난달 26일 집회를 하는 모습. 디스커버리펀드사기피해 대책위원회 제공.
디스커버리펀드사기피해대책위원회가 5월 26일 금융감독원 앞에서 기업은행이 불완전판매를 성토하고 있다.

금융업계 효자 상품으로 불렸던 사모펀드가 잇단 부실 사태에 투자자들의 분노를 자아내고 있다. 라임자산운용 사태가 수습되기도 전에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운용하던 펀드가 환매 중단됐다. US핀테크 글로벌 채권펀드와 US핀테크 부동산 담보부 채권펀드는 장하성 중국대사의 동생 장하원씨가 세운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설정했다는 이유로 디스커버리 펀드 또는 장하원 펀드로 불린다. 특히 장하원 펀드를 판매한 IBK기업은행이 불완전판매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기업은행은 1일 디스커버리자산운용 펀드 불완전판매와 관련하여 사실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소비자경제신문과 전화통화에서 "(불완전판매에 대해)한두 명의 사례를 확인하고 있을 뿐이다"고 말했다. 불완전판매 사례가 드러났지만 해당 펀드 판매를 모두 불완전판매로 볼 수는 없다는 뜻이었다. 그는 "위험등급이 높은 상품을 전 판매 직원들에게 안전한 상품이라고 권유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기업은행은 2017년부터 디스커버리 펀드를 판매해왔다. 기업은행은 투자자 1975명에게서 총 5842억 5251만원을 모아서 US핀테크 글로벌 채권펀드(판매액 3612억원)와 US핀테크 부동산 담보부 채권펀드(판매액 3180억원)에 투자했다. 장하원 펀드 투자의 86%를 기업은행이 책임진 셈이다. 하지만 미국에 투자한 채권을 회수하지 못하면서 환매가 중단됐다.

장하원 펀드 투자자들은 기업은행이 고위험 상품을 판매하면서 위험을 제대로 고지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디스커버리펀드사기피해대책위원회는 지난달 26일 금융감독원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펀드 판매 과정에 대한 검사와 관련 정보 공개를 촉구했다. 이들은 "디스커버리 사태는 상품 설계 단계부터 잘못된 명백한 사기 행위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기업은행은 디스커버리 펀드와 관련하여 원금 손실 위험도 없고 6개월 만기 3% 확정금리 상품이다고 설명하면서 미국이 반년 안에 부도가 나지 않는 한 절대 안전하다고 강조했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투자자는 "최근에 디스커버리 펀드가 투자위험 6등급 중 최고위험등급 1등급 위험상품이었으며 담보도 잡지 않고 대출을 해주는 악질 펀드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분개했다.

피해자가 디스커버리 펀드를 사모펀드가 아닌 신탁예금으로 착각한 사례도 알려졌다. 원금과 함께 이자를 주는 신탁예금으로 알고 장하원 펀드에 가입했다는 뜻이다. 70대 투자자는 지난해 디스커버리 US핀테크 글로벌 선순위채권에 3억원을 가입했는데 환매 중단 사태가 터지자 기업은행 VM팀장에게 사실관계확인서를 받았다. 펀드 판매자인 팀장은 확인서를 통해 투자자정보확인서와 고령투자자의 투자권유 유의상품 가입확인서를 임의로 작성했다는 고백했다고 알려졌다.

자본시장법 위반 의혹에 대하여 기업은행 관계자는 "한두 명 사례를 가지고 어떻게 생각하냐고 물어본다면 그 사실 여부는 조사해서 확인해봐야 하는 거지 지금 판매가 그렇게 됐다고 확인된 부분은 없다”면서 신탁예금으로 오인하게끔 판매했다는 피해자 주장에 대해서는 “처음 듣는 일이며 그 또한 사실 여부를 확인해봐야겠지만 공식적으론 사모펀드를 신탁예금인 것처럼 오인하게끔 판매한 건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금감원 민원에 대해서 "(조사 결과에 대해 금감원으로부터)통보된 게 없다"고만 했다.

기업은행은 디스커버리 펀드 보상과 관련하여 검토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5월 28일로 예정됐던 이사회를 연기했다. 기업은행 이사회는 환매가 중단된 디스커버리 펀드 피해자에 대한 구제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었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슬기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