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곤경 처했을 때 의존할 가족‧친구 비중 OECD 중 최하위

국회 입법조사처 “노인·청년복지 담당 기관 필요”

2016-07-24     정명섭 기자
▲ 한국이 곤경에 처했을 때 의존할 가족이나 친구가 있다는 질문에 긍정적으로 답변한 비중이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픽사베이)

[소비자경제=정명섭 기자] 한국이 곤경에 처했을 때 의존할 가족이나 친구가 있다는 질문에 긍정적으로 답변한 비중이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입법조사처의 ‘OECD 사회통합지표 분석 및 시사점’에 따르면 한국은 ‘사회적 관계(사회적 지원 네트워크)’ 부문에서 10점 만점 중 0.2점을 받았다.

사회적 관계는 그 사회 구성원들의 상호 지지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다. 곤경에 처했을 때 기댈 가족·친구가 있는지를 묻는 말에 긍정적인 답변을 한 사람의 비율을 따져 산출된다.

이런 물음에 대해 한국인의 72.4%만이 긍정적으로 답했다. 나머지 27.6%는 곤경에 처했을 때 주위에 도움을 받을 가족·친구가 없다는 의미다.

한국인들 사이 이런 긍정적인 답변의 비율은 조사 대상인 36개 국가 중 가장 낮았다. 전체 평균인 88.0%보다 15.6% 포인트나 낮은 수준이다.

한국은 터키(86.1%)나 칠레(85.0%), 멕시코(76.7%) 같은 중남미 국가들보다도 낮았다. 긍정적인 답변율이 높은 나라는 스위스(95.8%), 덴마크(95.0%), 독일(93.6%), 호주(92.0%) 등이었다.

한국은 긍정적인 답변율 자체도 낮았지만, 젊은 층과 중·고령층 사이의 격차도 심각하게 컸다.

15~29세의 긍정적인 답변율은 93.26%로 전체 평균(93.16%)보다 높았지만, 50세 이상은 60.91%(전체 평균 87.20%)로 조사 대상 중 가장 낮았다. 두 연령대 사이 긍정적 답변율의 격차가 조사 대상 중 가장 컸다.

이만우 국회 입법조사처 팀장은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는 주위 사람에 대한 신뢰를 넘어 규범과 가치를 실현하는 대인 관계의 구성에도 미치는 효과가 크다”며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의 구축은 건강 수명 연장 같은 개인적 차원뿐 아니라 공동체적 연대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전했다.

 

정명섭 기자 npce@dailycn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