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국내 車시장 비상… 내수 8.7% 하락 전망
신차 판매 182만대로 0.5% 감소…개소세 인하 종료, 경기 침체 영향
[소비자경제=정명섭 기자] 상반기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냈던 국내 자동차 시장이 하반기에는 이와 맞먹는 하락세를 면치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1일 현대자동차그룹 산하 글로벌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16년 하반기 경영환경 전망’에 따르면 올해 국내 자동차시장 연간 규모는 2013년 이후 3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해외 자동차 시장까지 하반기 성장률이 상반기 대비 낮아질 전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국내 자동차 시장은 개별소비세 인하 연장과 국산 신차 판매 호조세에 힘입어 93만대가 판매돼 전년 동기 대비 9.0% 증가했다.
상반기 기준 성장률 9.0%는 지난 2010년 상반기에 16.2%의 성장률을 보인 이래 최대 수준이다. 하지만 상반기와 달리 하반기 국내 자동차 시장 상황은 크게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소는 하반기 국내 자동차 시장이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와 경기 부진 영향으로 89만대 판매에 그쳐 전년 동기 대비 8.7%, 상반기 대비 4.8%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가 하반기 경기 활성화를 위해 노후 경유차 폐차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를 통한 판매 순증 효과는 3만대에 그쳐 판매 하락세는 극복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올해 국내 판매 총계는 182만대를 기록, 전년 대비 0.5% 감소하게 될 전망이다. 자동차 내수시장이 전년 대비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2013년 이후 3년 만에 처음이다.
국내뿐 아니라 하반기 글로벌 자동차 시장도 동반 침체가 예상됨에 따라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수출 전선에 비상등이 켜졌다.
전 세계 자동차 시장은 지난 상반기 전년 동기 대비 107만대가 늘어난 4374만대를 기록, 2.5%의 성장률을 나타냈다.
유럽과 중국이 각각 9.1%의 성장률을 나타내며 전체 성장을 견인했다. 하지만 미국은 성장률 1.5%로 저성장을 이어간 데다가 브라질과 러시아는 각각 -25.1%와 -14.1%로 지속적인 하향세를 보였다.
글로벌경영연구소는 하반기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4452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2.2%의 성장률을 기록, 상반기 성장률 대비 0.3% 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주된 원인으로는 글로벌 저성장이 고착화된 가운데 브렉시트 이후 불확실성이 커지고 신흥시장 부진이 지속되기 때문이다. 특히 상반기 9% 대 성장률을 나타낸 유럽시장은 브렉시트 결정 이후 소비 심리 위축으로 하반기에 0.7% 밖에 성장하지 못할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시장 성장률도 하반기 1.2%에 그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7년 만에 최저 성장률인 연간 1.3%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올해 연간 글로벌 자동차 시장 산업수요는 총 8826만대로 2.4%의 성장률을 나타내며 2.3% 성장률을 보였던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2% 대의 저성장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자동차 수출 감소에도 다행히 내수가 성장해 주면서 버텨낼 수 있었지만 하반기에는 내수, 수출 동반감소로 경영 불확실성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정명섭 기자 npce@dailycn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