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준비, 서울-지방 격차 더 늘었다...식장 대관료 16.7%↑, 식대도 6만원 돌파
[소비자경제] 이동윤 기자 = 결혼식을 준비하는 신혼부부들의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이 전국 14개 지역 결혼서비스 업체 504개사를 조사한 결과, 8월 결혼서비스 전체비용은 평균 2,160만 원이었으며, 최근 3개월 동안 상승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식 비용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식대의 중간가격은 6만 원을 넘어섰고, 특히 대관료가 지난 6월 대비 16.7%로 크게 올랐다.
‘수도권’의 결혼서비스 전체비용은 2,665만 원으로, ‘비수도권’(1,511만 원)보다 1,154만 원 비쌌다. 수도권 지역 중에서는 ‘서울(강남)’이 3,509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인천’이 1,860만 원으로 가장 낮았다. 비수도권에서는 ‘충청’이 1,759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경상’이 1,181만 원으로 가장 낮았다.
지난 6월과 비교하면, 수도권은 4.3% 상승(2,555만 원 → 2,665만 원)한 반면, 비수도권은 1.9% 하락(1,541만 원 → 1,511만 원)했는데, ‘서울(강남)’의 비용 상승(5.2%)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결혼식 비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식대도 오름세였다. 전국 결혼식장 1인당 식대 중간가격은 60,000원으로 지난 6월보다 2,000원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서울(강남)’이 6.0%(5,000원) 상승하며 14개 조사지역 가운데 최고가인 88,000원을 기록했다.
대관료 중간가격 역시 지난 6월 300만 원에서 16.7%(50만 원) 오른 350만 원을 기록하며 결혼 비용 상승을 이끌었다. ‘울산’과 ‘제주’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상승세가 이어지거나 동일한 가격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달보다 가격이 오른 결혼식장 20곳을 대상으로 상승 원인을 조사한 결과, 식재료·장식·꽃 등 주요 자재의 구매 단가 상승과 인건비 인상이 가격상승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패키지와 개별 서비스의 중간가격은 지난 6월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스튜디오는 가격변동이 없이 132만 원으로 동일했으며, 드레스는 2.6%(4만 원) 오른 155만 원, 메이크업은 5.5%(4만 원) 오른 77만 원으로 집계돼 약간의 오름세였다.
결혼서비스 선택품목(옵션) 54개 가운데 90.7%(49개)는 가격변동 없이 안정세가 유지되고 있었다. 다만 ‘생화 꽃장식’의 경우 지난 6월(200만 원)과 비교해 31.0%(62만 원) 오른 262만 원으로 나타났는데, 장식용 꽃 종류가 다양하고 계절별 가격변동이 큰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결혼준비대행 업체 20개사*의 계약서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모든 업체에서 불공정한 약관 조항이 확인되었다. 19개사(95%)는 ‘사진 파일 구입비’, ‘드레스 피팅비’ 등 필수옵션을 기본 제공 서비스가 아닌 별도항목으로 구성하고 있었고, 13개사(65%)는 옵션 가격을 구체적으로 표시하지 않고 ‘별도’로만 표기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공정거래위원회와 공유하고, 조사대상 20개사에 대해서는 불합리한 약관 조항 개선을 요청하는 한편 표준계약서 사용도 적극 권장할 예정이다.
npce@dailycn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