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민원·세금·건강보험까지...공공서비스에 ‘지능’ 입힌다

정부, 5대 분야에 AI 도입 본격화...“행정 효율화·국민 체감형 혁신 기대” 과기정통부, 공공분야 초거대 AI 서비스 5개 과제 수행기업 모집

2025-06-23     김동환 기자
CES 2025 개막 사흘째인 9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센트럴홀에 마련된 SK 전시관에서 관람객이 인공지능 개인 비서 서비스 '에스터'에 관해 설명듣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소비자경제] 김동환 기자 = 행정업무부터 국민 상담까지, 인공지능(AI)이 공공서비스에 본격 투입된다.

정부는 민원 분석, 건강보험 상담, 국세 질의응답 등 다섯 가지 분야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를 개발해 행정 효율과 국민 체감형 서비스를 동시에 실현하겠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최근 ‘초거대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 지원 사업’을 본격 추진하며, 이를 수행할 기업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공공 영역에서 초거대 AI 기술을 활용해 국민이 실질적으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올해 초 공모를 통해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에서 AI 활용이 유망한 5개 과제가 선정됐다.

첫 번째 과제로는 국민권익위원회의 ‘생성형 AI 기반 국민소통·민원분석 체계’가 있다. 이 시스템은 민원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해 민원 행정의 효율을 높이고, 보다 정밀하고 신속한 응답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국민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세청은 ‘AI 기반 국세 상담 서비스’를 통해 전자신고 관련 문의에 실시간 대응하는 AI 챗봇을 도입할 계획이다. 홈택스 이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이고, 세무 용어 등으로 인한 불편을 줄이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중소기업 수출 지원을 위해 ‘해외인증 공공특화 AI 에이전트’를 개발한다. 모바일 및 SNS 기반으로 제공되는 이 서비스는 수출 기업이 해외 인증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김경만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선정된 과제에 대해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행정 현장의 변화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확산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며 “개발된 서비스는 공공분야에서 행정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대국민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민간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져줄 것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승현 디플정위 인공지능·플랫폼혁신국장은 “이번 사업은 노동, 복지, 민원 등 다양한 공공 분야에 인공지능을 도입·활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올해도 인공지능을 활용해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대국민 서비스를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npce@dailycn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