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호관세 부과…은행권, 건전성 관리 주력

업종별·차주별 관세 영향 분석 기업대출 규모 감소세…5대 시중은행 825조2093억원

2025-04-07     김은경 기자

[소비자경제] 김은경 기자 = 제2기 트럼프 정부 출범으로 미국의 국가별 상호관세 조치 시행이 임박해진 가운데 국내 금융권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수출 중심 산업군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에 은행들은 외형 확장보다 자산 건전성 관리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이에 올해 기업대출 증가세가 꺾일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사진=연합뉴스)

업종별 관세 리스크 점검 돌입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들은 오는 9일 미국의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리스크 점검에 돌입했다. 관세 부과로 수출입 기업 채무 상환 여력이 악화될 가능성이 커져 대출 연체율 상승 등 부실 리스크가 불거질 수 있다는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다소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된 상황에서 시장 초점은 온전히 상호관세로 향하고 있다”며 “은행들은 여신 포트폴리오를 우량 기업 중심으로 조정하고 있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KB국민은행은 업종별·차주별로 관세 리스크를 세분화해 분석 중이다. 미국 현지 생산능력이 부족하거나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산업을 중심으로 수출 감소 영향과 대응 여력을 평가하고 있다. 이를 상반기 산업등급 평가에 반영할 계획이다. 

하나은행도 이차전지 등 관세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을 중점관리 대상으로 설정했다. 조기 경보 체계를 통해 연체 리스크를 미리 관리하고, 자산 건전성 유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도 각각 산업별 관세 영향도 분석, 환율 리스크에 따른 외화자산·외환여신 관리 강화에 나섰다.

NH농협은행도 중점관리 대상 여신을 선정해 기업 여신 부실 징후에 대응한다. 대외 리스크 민감 업종의 경우 여신 규모와 연체율 추이 등을 상시 점검할 계획이다.

이 같은 상황에 기업대출 규모는 감소세로 이어지고 있다. 3월 말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825조2093억원으로 전월 대비 2조4937억원 감소했다. 연초 대출영업에 적극 나서는 통상적인 흐름을 감안했을 때 기업 대출 규모가 축소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특히 자본력이 탄탄한 대기업 대출도 1조6254억원이나 줄었다. 이를 두고 금융권은 보통주자본비율(CET1) 관리 강화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CET1은 은행의 건전성과 배당 여력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위험가중치가 높은 기업대출이 늘게 되면 CET1이 하락한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25% 관세 시 대미 수출 최대 13% 감소 전망 나와

한편 미국발 관세 전쟁으로 대미 수출이 13% 넘게 감소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하나은행은 미국 관세 부과 조치로 인해 대미수출이 종전보다 13% 이상 감소하고, 국내 부가가치 손실 규모가 10조6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산업연구원은 멕시코와 캐나다에 10%, 중국에 60%, 한국을 포함한 그 외 국가들에 20%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대미 수출이 13.1%까지 감소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IBK경제연구소의 경우 25% 관세 부과 시 대미 수출이 12.8%, 전체 수출이 4.6%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소는 자동차(-18.6%), 일반기계(-39.7%) 등 주력산업 대부분 지난해 말 대비 큰 폭으로 대미 수출이 감소하고, 반도체도 대미 수출 증가율이 1%대로 둔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npce@dailycn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