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친모빌리티 ‘스마트+빌딩’ 1만채 짓는다
스마트+빌딩 활성화 로드맵…건축 기준 마련 건축산업 매출 12조 원·일자리 13만 개 창출
[소비자경제=김성지 기자] 국토부가 도심항공교통(UAM)·자율주행·스마트물류 등 모빌리티 시대에 맞는 건축 기준을 마련한다.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지난 19일 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 융합 혁신을 통한 국민의 스마트행복 구현과 국가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공간 분야의 혁신 정책으로 ‘스마트+빌딩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고 20일 전했다.
그간 국토부는 건축물에 스마트기술을 더한 스마트+빌딩 활성화 로드맵을 마련하기 위해 공동위원장에는 원희룡 장관과 하헌구 인하대 교수로 해, 산·학·연 65개 기관이 참여하는 얼라이언스를 운영했다.
로드맵에 따르면 모빌리티 시대에 맞춰 건축물이 모빌리티 친화 인프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용적률·건폐율 완화 혜택 부여를 추진한다. 발전하는 기술 변화에 대응해 건축설계·시공·유지관리 기술도 고도화하고, 다양한 기술을 통합관리하는 건축물 플랫폼 개발도 추진한다.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 중 28개 기관과 함께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가천길병원, 고양시-서대문구 청사에 대한 스마트+빌딩 적용 공동연구 MOU를 체결하고 실제 구현방안에 대해 모색할 계획이다. 로드맵 발표 이후에는 스타트업과 청년이 함께 하는 스마트+빌딩 혁신 라운드 테이블이 이어진다.
이 자리에서는 대학생이 제안하는 스마트+빌딩 조성 아이디어와 스타트업이 제안하는 스마트+빌딩 산업 생태계 구축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토대로 청년 고급 일자리 창출 등 건축산업 혁신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국토부는 국민들이 일상 공간에서 UAM, 자율주행, 로봇 등 4차 산업혁명의 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친모빌리티, 친물류, 친환경 스마트+빌딩의 확산에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