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시장 선도” GM, 미래 비전 ‘트리플 제로’ 발표

DIFA 2023, 미래 모빌리티 비전·기술 리더십 발표 트리플 제로 비전 앞세워 전-전동화 미래로 전진

2023-10-23     김성지 기자
GM 전기차 라인업 [사진=GM]

[소비자경제=김성지 기자] GM이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위해 교통사고 제로·탄소배출 제로·교통체증 제로)를 위한 로드맵을 제시했다. 

제너럴 모터스(이하 GM)는 대구광역시 엑스코(EXCO)에서 열린 ‘2023 대한민국 미래모빌리티엑스포(DIFA)’에 참여했다고 23일 전했다.

올해로 7회차를 맞아 지난 19~21일까지 개최된 DIFA는 친환경 자동차, 자율주행·UAM, 미래 자동차 부품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주제로 한 산업 전시회다.

GM은 한국연구개발법인을 중심으로 본 전시회에 참여했으며, ‘버추얼 엔지니어링의 미래로’를 주제로 버추얼·EV 엔지니어링 기술과 국내 출시 예정인 얼티엄 플랫폼 기반의 미래 전기차 등을 공개, 관람객에게 GM이 선도하는 미래 모빌리티의 방향성과 비전을 제시했다.

특히 19일 대구광역시·국토교통부·산업통상자원부 주최로 열린 ‘2023 대한민국 미래모빌리티엑스포 포럼’에서는 브라이언 맥머레이(Brian McMurray) GM 한국연구개발법인 사장과 유영우 상무, 글로벌 GM의 배터리 엔지니어링 테크니컬 리더 앤디 오우리(Andy Oury)가 연사로 참여했다. 

플랫폼 이노베이터 GM의 기술 리더십을 소개하는 브라이언 맥머레이 GM 한국연구개발법인 사장 [사진=GM]

첫 번째 연사로 나선 브라이언 맥머레이 사장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지금은 이동수단에 대한 혁신이 필요한 시기”라며 “GM은 기술이 만들어갈 새로운 변화를 바탕으로 내연기관 차량 생산을 단계적으로 축소, 가까운 미래에 배기가스 배출이 없는 전기차만 생산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GM은충전 시 최대 720km 주행이 가능하고, 1kWh 당 생산비용이 100달러 미만인 얼티엄 배터리 팩을 바탕으로 전-전동화 미래를 위해 나아가고 있으며 그 핵심에는 교통사고 제로·탄소배출 제로·교통체증 제로라는 트리플 제로 비전이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유영우 상무와 앤디 오우리 테크니컬 리더는 얼티엄 플랫폼 중심의 GM 전기차 개발 전략·기술적 특징·향후 계획 등의 설명을 이어갔다.

앤디 오우리 테크니컬 리더는 “GM은 전기차용 배터리 및 셀 기술과 관련된 2천여 개 이상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모듈과 배터리 팩을 지속적으로 개선, 모든 전기차 모델에 신속하고 광범위하게 적용할 것”이라며 “유연한 모듈형 얼티엄 플랫폼은 GM이 주도하는 전기차 대중화 시대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며 설명을 마쳤다.

GM의 얼티엄 플랫폼의 핵심 엔지니어링 요소를 소개하는 앤디 오우리 글로벌 GM 배터리 엔지니어링 테크니컬 리더 [사진=GM]

이날 GM은 획기적인 얼티엄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캐딜락 리릭과 GMC 허머 EV, 쉐보레 블레이저 EV와 실버라도 EV, 브라이트드롭의 ZEVO 600 등을 출시했으다 향후 쉐보레 이쿼녹스 EV,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와 셀레스틱, GMC 시에라 EV 등 다양한 가격과 목적에 맞는 전기차를 글로벌 시장에 출시, 광범위하고 탁월한 전기차 포트폴리오를 확보하고 자동차 제조사에서 플랫폼 이노베이터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한편, GM은 한국에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연구개발법인을 보유하고 있다. 디자인에서 최종 차량 검증, 생산 기술에 이르기까지 완전한 차량 개발이 가능한 시설을 갖추고 있는 이곳은 GM의 전-전동화 미래를 달성하고, 미래 모빌리티 기술 발전을 선도하는 글로벌 엔지니어링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