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9개 부처 ‘1조 4000억원’ 벤처펀드 조성
7000억원 출자…중기부는 초격차·스케일업·지역엔젤 등 4805억 출자 진행
[소비자경제신문=권찬욱 기자]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 등 정부 9개 부처가 ‘2023년 2차 모태펀드 정시 출자공고’를 통해 약 7000억원을 투자해 약 1조 4000억원 규모의 벤처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중기부는 8일 이같은 사실을 알리고, 이번 출자에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 환경부, 고용노동부(이하 노동부),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가 함께한다고 밝혔다. 1차 정시 출자는 지난 1월 중기부가 공고했으며, 현재는 선정 심사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기부는 초격차, 창업초기, 스케일업·중견도약, 일반세컨더리, LP지분유동화, 벤처세컨더리 사모펀드, 지역혁신, 글로벌, 지역엔젤 등 9개 분야에 4805억원을 출자해 1조원 이상의 벤처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특히 초격차펀드에 대한 출자는 올해가 처음으로, 2000억원 규모로 조성해 초격차 10대 분야와 딥테크 관련 혁신 벤처·스타트업 투자를 지원한다. 벤처세컨더리 사모펀드 역시 올해 처음 출자되는 것으로 해당 펀드는 1500억원 규모로 조성되어 사모펀드시장 연계를 통해 벤처펀드의 중간회수를 도울 예정이다.
창업초기펀드와 스케일업·중견도약펀드는 혁신 벤처·스타트업의 성장 단계별 투자 지원을 위해 조성되는 것으로, 각각 1500억원, 1150억원 규모다. 또 일반세컨더리는 중간회수시장 활성화 차원에서 투자받은 기업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옛 주식을 인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되며, 3000억원 규모로 조성된다. LP지분유동화펀드는 기존 벤처펀드의 출자자(LP) 지분을 인수하는 역할로 400억원 규모로 조성된다.
지역혁신 모펀드는 지역 벤처·스타트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 공공기관 등과 함께 조성하는 역할로 357억원이 추가로 출자며, 지역엔젤 모펀드는 초기 지역기업의 엔젤투자 활성화를 위한 펀드로 200억원이 출자된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모펀드에는 648억원이 추가로 출자되어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과 해외 자본 유치를 지원한다.
이 중 지역혁신, 지역엔젤, 글로벌 모펀드의 자펀드 공고와 벤처세컨더리 사모펀드 공고는 추후 별도로 진행될 예정이다.
중기부는 이러한 2차 정시 출자 분야 중 초격차펀드와 창업초기펀드 2개 분야에 대해 신생·중소형 벤처캐피탈(VC) 전용 루키리그를 통해 각 400억원씩 출자할 예정이다. 또 스케일업·중견도약펀드와 일반세컨더리펀드 2개 분야는 중소형·대형 출자 유형으로 구분해 출자한다.
민간 출자 모집이 대형 VC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려운 중소형 VC들은 정책 출자 비율이 높은 중소형 유형에 참여할 경우 민간 출자 모집이 용이할 수 있다.
중기부를 제외한 8개 부처는 총 2040억원을 출자해 약 3000억원 이상의 벤처펀드를 만들 예정이다. 문체부는 675억원을 출자해 중저예산 한국영화 투자펀드를 400억원 규모로 조성한다. 추가로 스포츠 산업 관련 펀드를 250억원, 관광기업 지원 펀드를 430억원 규모로 조성해모두 합쳐 108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할 예정이다.
과기부는 360억원을 출자해 메타버스 기술기반 기업 투자펀드를 400억원, 공공기술사업화 펀드를 100억원, 우주·항공 관련 뉴스페이스 펀드를 100억원 규모로 조성한다. 모두 합치면 600억원 규모다. 환경부도 총 500억원을 미래환경산업 투자펀드에 출자해 환경분야에서 출자한 펀드 중 최대 규모인 715억원 가량의 펀드를 조성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150억원을 출자해 국토교통산업 전용펀드를 250억원 규모로 조성하고, 해수부는 130억원을 출자해 해양신산업 전용펀드를 186억원, 복지부는 100억원을 출자해 사회서비스 투자펀드를 140억원 규모로 조성한다. 교육부는 75억원을 출자해 대학창업 전용펀드를 100억원 규모로, 노동부는 50억원을 출자해 사회적기업 전용펀드를 70억원 규모로 각각 조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