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격차역량 강화”…CJ그룹 ‘2023~2025 중기전략’ 수립 본격화
이재현 회장, 전 계열사 CEO·지주사 경영진과 ‘그룹 CEO미팅’ 중기비전 1년 성과 점검 및 ‘2025 중기전략’ 수립 이 회장, 중기비전의 1년 성과 점검 및 미래성장 방향성 강조
CJ그룹이 내년 이후 그룹의 성장을 위한 비전수립과 미래전략을 위한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CJ그룹은 지난 27일 서울 중구 CJ인재원에서 주요 계열사 CEO와 지주사 주요 경영진이 모두 참석한 가운데 ‘그룹 CEO미팅’을 진행했다고 28일 밝혔다.
CJ는 앞선 24일 예년보다 두 달 빠른 임원인사를 단행해 내부 조직을 먼저 가다듬고, 불과 3일 만에 주요 경영진이 모여 내년 이후 그룹 성장을 위한 비전과 미래전략을 수립하는 자리를 가졌다.
그룹 CEO미팅에서 이재현 회장은 지난해 11월 발표했던 중기비전의 1년 성과를 점검하고 미래성장의 방향성을 강조하며 향후 3년의 새 중기전략과 실행안을 각 사별로 마련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 회장은 ▲초격차역량 확보 ▲4대 성장엔진 중심 혁신성장 가속화 ▲최고인재 확보 ▲재무전략 고도화 등의 중기전략의 키워드를 제시했다. 이에 따라 CJ 각 계열사는 2023년부터 2025년까지의 새 중기전략 구축 본격화에 돌입한다. 내년부터 즉시 실행 가능한 계획이 연내에 마련돼 곧장 실행될 전망이다.
CJ그룹 CEO들은 중기비전 발표 후 1년간의 성과를 되돌아보며 내년도 과제를 함께 점검했다.
이재현 회장은 “올 상반기 사상 최대실적 기록했지만 우리가 혁신성장의 키워드로 제시한 4대 미래성장엔진이 본격 가동됐다고 보기엔 아직 이르다”면서 “사업역량과 대외환경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초격차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J는 지난해 11월 C.P.W.S(컬처, 플랫폼, 웰니스, 서스테이너빌러티) 4대 성장엔진 중심으로 10조원 이상을 투자하고 인재들이 마음껏 일할 수 있는 환경 구축을 위한 인사제도·조직문화 혁신을 추진했다. 이후 사상 최초로 분기 매출 10조원(2분기 기준)을 돌파하는 등 최대 실적을 경신하며 글로벌 경기침체에도 성장세를 이어갔다.
미래 유망분야 전략적 M&A, 지분투자를 통해 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바타비아(CJ제일제당)와 글로벌 제작 스튜디오 엔데버콘텐트(CJ ENM엔터)를 인수하고, 팬덤 비즈니스 전문 스타트업 ‘비마이프렌즈’에 지분투자(CJ주식회사, CJ올리브네트웍스) 하기도 했다. 이 밖에 지난 4월 AI센터 개소하고, 8월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CVC) CJ인베스트먼트 출범으로 미래 비즈니스 발굴을 위한 구조도 마련했다.
한편 CJ는 이재현 회장의 지시에 따라 조직문화 혁신도 활발히 추진했다. 임원 직급을 ‘경영리더’ 단일 직급으로 통합했으며 직원 직급 역시 기존 7단계를 계열사 별로 축소·통합했다. 자기주도형 성장과 업무 몰입 환경 조성을 위해 리더공모제와 잡 포스팅(Job Posting), 사내벤처 도입 및 거점오피스와 선택적 근로시간제도 확대하고 있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세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