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테크핀 예·적금 젊은 층 인기, 가입자 70만명 돌파
‘T 하이5’ 적금 2종…2030 고객 확보 개인자산관리·신용평가업 진출 추진
SK텔레콤의 테크핀(기술금융) 예·적금 상품이 설립 3년 만에 가입자가 70만명을 돌파했다. 2017년 하나금융지주와 합작해 생활금융플랫폼 서비스업체 핀크를 설립한 SK텔레콤 핀크의 총 예금 가입자는 30만명, 적금 가입자는 40만명을 각각 넘어섰다.
적금상품 중 <T 하이5> 시리즈 2종은 젊은 층에 인기를 끌면서 가입자의 60% 이상이 20~3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KDB산업은행과 함께 선보인 <KDB x T 하이5> 적금은 기존 은행권 적금 가입자 평균 연령인 42세보다 10세 가까이 적은 평균 연령 33세들이 주 가입자다.
SK텔레콤은 “기존 통신사 및 은행 주요 고객층이 40~50대였다”며 “핀테크 적금 상품이 젊은 고객을 붙잡고 주 고객대상을 확장하는 효과를 보고 있는 것이다”라고 해석했다.
입출금통장 상품 중에서는 T이득통장과 KDB HI 비대면 입출금 통장, 하나플러스 통장 등이 고르게 인기를 끌고 있다. 핀크가 SK텔레콤, KDB산업은행과 함께 올해 6월 선보인 T이득통장은 최대 연 2% 금리를 제공하는 자유입출금 상품이다. SK텔레콤을 이용하는 만 17세 이상 고객이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다. KDB HI 비대면 입출금 통장과 하나플러스 통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주목받는 비대면 서비스가 강점이다.
핀크는 이달 마이데이터(MyData) 산업이 신설된 데 따라 개인 금융생활을 진단하고 솔루션을 제공하는 개인종합자산관리(PFM.Personal Finance Management) 서비스를 본격화한다. 현재 이를 위한 인허가를 준비 중이며, 지난 3월에 이어 7월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재개편했다.
비금융 신용평가제도인 <T스코어>로 신용평가(CB.Credit Bureau) 사업에도 진출할 방침이다. 이는 통신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핀크의 T스코어는 휴대전화 이용 정보를 통신신용점수로 산출한 뒤 금융기관에 제공해 신용등급과 함께 대출심사에 반영하는 솔루션이다.
급여이체, 카드대금, 보험료, 공과금 납부 등 계좌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지급결제사업자> 신청도 적극 검토 중인 핀크는 “관련 제도와 가이드라인을 검토해 신청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세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