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이 대한항공을 살렸다…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세계서 유일
대한항공이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신종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여객 수요는 감소했지만 화물기 가동률이 확대돼 영업이익과 당기손순익 모두 흑자전환했다. 세계 항공사들 중 유일하다.
6일 대한항공에 따르면, 2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44% 감소한 1조 6,909억원을 기록했으나 여객기를 통한 화물수송과 화물기 공급 확대를 기반으로 1,485억원의 영업흑자를 기록했다. 당기순손익 또한 1,624억원으로 흑자로 전환했다.
화물수송에 전사적 역량 쏟아부어
대한항공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급락하는 여객 실적을 추스리는 한편, 화물 부문에 전사적 역량을 쏟으며 수익성 확보 통한 위기 대응에 발벗고 나섰다.
화물사업의 경우 여객기 운항이 급감해 벨리(Belly, 여객기 하부 화물칸) 수송이 어려워졌지만, 철저한 정비 및 점검으로 전년 동기 대비 화물기 가동률을 22% 늘려 공급은 오히려 1.9% 늘어났다.
또 적극적인 수요 유치 노력을 기반으로 수송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17.3% 증가했으며, 화물 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94.6%(5,960억원) 늘어난 1조2,259억원을 기록했다.
여객사업의 경우 코로나19로 전 노선의 수요 감소로 수송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92.2% 감소했지만, 4월 이후 제주노선을 중심으로 국내선 수요가 회복하다가 6월 이후 국제선에서도 소폭 수요가 개선됐다.
전 직원 혼연일체…‘위기극복’ 전력
대한항공이 흑자를 기록할 수 있었던 것은 조원태 회장을 중심으로 전 임직원이 혼연일체가 되어 위기 극복에 매진했기 때문이다. 임직원의 급여 반납과 휴업을 비롯한 뼈를 깎는 비용 절감 노력이 값진 성과를 이뤄냈다.
항공화물 수송체제로의 전환이 주효했다. 조원태 회장은 수 년간 지속된 항공화물 시장의 불황에도 고효율 최신 화물기로 기단을 재편하고 화물사업 미래 경쟁력에 적극 투자했다. 특히 ‘발상의 전환’을 통해 여객기를 화물기로 활용하는 색다른 전략을 제시하는 등 코로나19 팬데믹 위기 극복을 위한 선봉장 역할을 했다.
조원태 회장은 자사 보유 L.A., 뉴욕 등 전용 화물터미널의 처리 능력을 극대화하는 등 차별화된 경쟁력을 통해 시장 변동성에 대한 면역력을 키우는 한편, 화물 예약·영업·운송·수입관리 전반에 대해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신화물시스템을 2019년부터 도입했다.
정비 직원들도 힘을 냈다. 화물기 가동률을 최대한 높여 수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철저한 정비 점검과 관리에 역량을 집중해 화물기 가동률을 전년대비 22%까지 높였다. 운항승무원들도 장거리 노선, 단거리 노선, 오지를 가리지 않고 안전운항과 정시수송을 위해 매진했다.
또한 코로나19로 여객기 운항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에서도 객실승무원, 여객 직원, 지원부서의 직원들 모두 제 자리에서 고객들의 안전한 여행을 위해 방역 및 최선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했다. 초유의 사태 속에서도 상당수의 직원들이 휴업에 적극 동참함으로써 회사의 비용절감 노력에 힘을 보탰다.
코로나19로 세계 항공화물 시장의 상반기 수요가 약 15%, 공급이 약 23% 줄어들었으나 대한항공은 오히려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다. 올해 상반기 화물 운송실적이 10% 이상, 2분기 기준으로는 약 17% 증가했다. 2분기 화물부문 매출도 1조 2,25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의 6,300억원 대비 약 95%나 늘어났다.
“화물 전용편 공급 더욱 확대할 것”
글로벌 항공사들의 화물 운송실적은 바닥을 쳤다. 여객기 위주로 항공사업을 영위하던 아메리칸항공, 유나이티드항공, 영국항공 등은 항공화물 공급의 약 65%를 차지하는 벨리 수송이 어려워지자 지난 5월~6월 화물 운송실은 전년 대비 30~45%까지 떨어졌다.
화물기를 운영하는 항공사들도 실적 악화를 맞았다. 대한항공과 유사한 노선망과 화물기단을 운영 중인 캐세이퍼시픽의 경우 올해 상반기 화물운송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약 24% 감소했다. 에미레이트항공은 전년 동기 대비 약 28%, 루프트한자는 약 35%까지 하락했다.
유일하게 흑자를 기록한 대한항공에게도 올 하반기는 위기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간 지속됨에 따라 더욱 어려운 경영 환경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전 세계 각국은 앞다투어 경제 성장률 기대치를 낮추고 있고, 최근에는 세계 경제 성장률이 -4.9%까지 낮아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국제항공운송협회는 올해 항공화물 수요가 전년 대비 14%에서 최대 31%까지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조원태 회장은 “하반기에도 화물기 가동률을 보다 높이는 한편, 글로벌 생산기지의 거점으로 떠오르고 있는 동남아 노선에 대한 공급을 늘리고 여객기의 화물 전용편 공급도 추가로 확대할 것”이라면서 “9월 이후부터는 여객기 좌석을 떼어 내고 화물기로 이용하는 방안 등도 추진하는 등 여객기를 화물기처럼 활용하는 발상 전환을 통해 하반기에도 위기 극복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고 강조했다.
소비자경제신문 노정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