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원 코리아,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
나루히토 일왕 “과거를 돌아보고, 깊은 반성 위에 선다”
침략국으로서의 책임 거론 외면하는 아베...야스쿠니에 공물 전달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충남 천안시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제74회 광복절 경축식에서 광복군이 서명한 대형 태극기를 배경으로 장병들을 격려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충남 천안시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제74회 광복절 경축식에서 광복군이 서명한 대형 태극기를 배경으로 장병들을 격려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소비자경제신문 이한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올해 광복절 대일 메시지는 그 어느해보다 관심이 뜨겁게 집중됐다.

다름 아닌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의 선고를 못마땅하게 여긴 일본 아베 정부의 수출규제 보복 이후 한일 양국 간에 출구 없는 갈등이 증폭일로로 치달아 온 것과 무관하지 않아서다.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제74주년 광복절을 맞아충남 천안 독립기념관 경축식에서 “2045년 광복 100주년에는 평화와 통일로 하나된 나라, 원코리아(One Korea)로 세계 속에 우뚝설 수 있도록 기반을 단단히 다지겠다”고 운을 뗐다.

문 대통령은 이어 “임기 내에 비핵화와 평화체제를 확고히 하겠다”는 다짐과 함께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라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한 목표로 3가지 비전을 제시했다. △책임 있는 경제강국, △동북아 평화와 번영의 질서를 선도하는 교량국가, △평화로 번영을 이루는 평화경제 등이다.

최근 갈등을 빚는 일본을 향해서도 메시지를 내놨다. 문 대통령은 “일본의 부당한 수출규제에 맞서 우리는 책임 있는 경제강국을 향한 길을 뚜벅뚜벅 걸어갈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도 “지금이라도 일본이 대화와 협력의 길로 나온다면 우리는 기꺼이 손을 잡을 것”이라며 “공정하게 교역하고 협력하는 동아시아를 함께 만들어 나가겠다”는 유화적인 제스처도 내비쳤다. 

광복절 경축식을 독립기념관에서 연 것도 일본을 의식한 기획이라는 시선이 있다. 광복절 경축식이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건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4년 이후 15년 만이다.

일본 역시 8.15 관련 메시지를 내놨다. 일왕은 ‘깊은 반성’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반면 아베 총리는 야스쿠니 신사에 공물을 보내는 등 사죄와는 거리가 먼 모습을 보여 대조적인 모습이었다.

◇일왕, "과거사 문제 깊이 반성" vs 전범家 후손 아베, 모르쇠 일관

나루히토 일왕은 15일 도쿄 지요다구 부도칸에서 열린 ‘전국 전몰자 추도식’에서 “과거를 돌아보고, 깊은 반성 위에 서서 전쟁의 참화가 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절실히 기원한다”고 말했다.

나루히토 일왕은 또 목숨을 잃은 사람들과 유족을 생각하며 깊은 슬픔을 새롭게 느낀다며 전쟁의 참화가 반복되지 않기를 간절히 원한다고 말했다. 일왕이 전몰자 추도식에서 “깊은 반성”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은 아키히토 상왕이 일왕으로 재위했을 때인 지난 2015년부터다.

반면, 아베 총리는 반성의 기미를 전혀 보이지 않았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태평양전쟁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신사에 다시 공물을 보냈다. 아베 총리가 패전일에 이 공물을 보낸 것은 지난 2012년 12월 2차 집권 뒤 7년째다.

아베 총리는 2013년 이후 지금까지 한 번도 종전 기념행사에서 침략국으로서 일본의 책임을 거론하지 않았다. 지난 1993년 호소카와 모리히로 총리 이후 역대 총리들이 가해 책임을 언급하면서 반성과 애도의 뜻을 밝혀 온 것과도 대비된다.

8.15를 둘러싼 양국 정상의 메시지는 최근 두 나라간 상황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문재인 대통령과 일왕은 평화를 얘기했지만 아베는 일체의 언급 없이 묵묵부답의 태도를 고수했다. 이를 두고 아베 총리가 한일 과거사 문제에 대해 사과할 수 없는 이유에 대해 벼랑 끝에 선 일본의 현실과 현 정권의 몰락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