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정숙 평화당 일제잔재문화청산특별위원장 24일 국회 토론회…"죽음까지도 일제잔재 기생"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1934년 의례준칙 통해 일본식 교체
유족완장, 공동묘지, 납골당, 화장장, 리본 등 수두룩

청산해야 할 생활속의 일제잔재-상례문화 세미나. (사진=장정숙 국회의원실 제공)
지난 24일 국회서 열린 청산해야 할 생활속의 일제잔재-상례문화 세미나. (사진=장정숙 국회의원실 제공)

[소비자경제신문 민병태 기자] 삼베 수의와 국화영정 등 상례문화 속 일제 잔재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삼베는 죄인에게 입히던 것이란 점에서 죽음까지도 일제 잔재가 기생하고 있어 대안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장정숙 민주평화당 일제잔재문화청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24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청산해야 할 생활 속의 일제잔재-상례문화'를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

민주평화당은 올해 민주공화국 100년을, 3.1 운동 100년을 맞아 일제강점기의 불행한 유산을 다시 생각해보고 역사정의를 바로세우기 위해 일제잔재문화청산특별위원회를 설치, 운영중이다.

장정숙 민주평화당 일제잔재문화청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현재 우리에게 익숙한 삼베 수의, 국화영정 등 상례문화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1934년 의례준칙을 통해 우리의 전통을 일본식으로 바꾼 것"이라며 "일제가 우리의 장례문화를 훼손함으로써 민족의 얼과 혼을 완전히 끊어버리려는 시도였고, 수탈을 목적으로 값비싼 수의를 쓰지 못하게 한 저의가 깔려 있었다"고 지적했다.

실제 상례문화에는 일제 잔재가 적지 않다.

박태호 장례와 화장문화 연구포럼 공동대표에 따르면 삼베 수의는 출처가 모호한 요소와, 1934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만든 의례준칙이라는 큰 그림자가 길게 드리워져 있다.

청산 없이 재생산되는 일제잔재 문화. (자료=장정숙 국회의원실 제공)
청산 없이 재생산되는 일제잔재 문화. (자료=장정숙 국회의원실 제공)

삼베 수의의 경우 일제강점기 이전 우리나라는 고인에게 삼베 수의를 입히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일제의 강압에 의해 죄인에게나 입히는 거친 삼베옷을 고인에게 쓰게 된 것이다.

실제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 의해 반강제로 보급된 삼베(大麻) 수의는 해방 후에 우리 전통 수의인 양 보급됐다.

당시 삼, 모시, 목화 농사를 많이 짓던 시절 사용 자체가 별 부담이 되지 않았다. 하지만 현재 농촌에서 농사를 짓지 않다보니 국내산 삼베는 거의 사라지다시피 했고, 혹 생산되더라도 고가에 거래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중국산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데다 삼베(또는 유사한) 직조에 사용되는 삼베 원사부터 저마(기계직조)까지 수입에 의존해 적지 않은 외화가 낭비되고 있다.

또 공동묘지(共同墓地)와 납골당(納骨堂)이라는 명칭과 함께 화장(火葬), 화장장이라는 장법과 시설 역시 일제 잔재다.

여기에 유족 완장과 리본, 국화로 치장한 영정 등 오늘날 보편화된 상례문화 상당수가 일제강점기의 잔재라는 지적이다.

권명길 한국장례문화진흥원장은 "장례문화 일제잔재 청산 및 대안 마련을 위한 정책연구를 추진해 민족고유 장례문화의 현대적 회복이 필요하다"며 "가치관·종교 다원주의 및 모바일시대에 맞는 전통장례문화모형을 개발하고 소비자·업체가 상생하는 장례공공성 고취 및 신규사업모델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