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진 회장 2030년 40조 투자계획…송도 25조, 오창 5조, U-헬스케어 10조
11만개 일자리 창출…R&D 2000명, 생산 8000명 직접고용
제약바이오업계 쏠림현상 예상…가칭 K-NIBRT 설립 검토
한국바이오협회, 매해 140명 전문인력양성…대학, 전문기관 등 춘천 주목

셀트리온그룹 비전 2030 기자간담회 모습. 사진=셀트리온그룹 제공
셀트리온그룹 비전 2030 기자간담회 모습. 사진=셀트리온그룹 제공

[소비자경제신문 민병태 기자]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오는 2030년까지 의약품 R&D전문인력 등 1만명을 직접 고용하는 방안을 밝힌 가운데 바이오전문인력 양성에 관심이 모아진다. 정부와 함께 전문인력 양성계획을 수립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업계는 물론 학계와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총 투자규모 40조 중 인천 송도 25조, 충북 오창 5조에 이어 바이오전문인력 양성은 10조 투자와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 서정진 회장 40조 투자계획…세계 최대 제약사 '화이자' 도전장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최근 2030년까지 약 40조원을 투자해 글로벌 의약품시장 선두주자는 물론 4차 헬스케어산업까지 진출하는 비전을 제시했다. 세계 최대 제약사인 화이자를 상대로 도전에 나선 것이다.

중장기 계획으로 인천 송도를 거점으로 바이오의약품사업에 25조원을 투자하고, 충북 오창을 중심으로 케이컬의약품사업에 5조원을 투자키로 했다.

또한 글로벌 헬스케어와 기타 산업의 융복합 가치를 창출하는 U-헬스케어 플랫폼 사업에 1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특히 10조원이 투자될 U-헬스케어사업은 헬스케어사업 전반에 활용 가능한 플랫폼 개발 및 의료데이터·인공지능에 집중 투자할 방침이다.

이는 인천 송도나 충북 오창과 같이 특별한 지역을 거점보다는 전문인력이 집약된 형태라는 점에서 구체적인 추진계획에 관심이 모아진다.

◇ 셀트리온 직접고용 1만 명 등 직·간접고용 10만여 명…중소·중견기업 인력난 우려

셀트리온그룹은 1만 명 직접고용과 10만 명 간접고용을 예상하고 있다.

의약품사업에 2,000여 명의 R&D 인력을 신규 채용하고, 바이오·케이컬의약품 공장 확충에 8,000여 명의 생산인력 등 총 1만 명을 직접 고용할 방침이다.

아울러 원부자재 국산화 및 4차산업 진출과 관련된 업종 전반에 걸쳐 10만여 명의 간접 고용을 예상하고 있다.

이 경우 제약·바이오·케이컬 전문인력의 셀트리온그룹이나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일부 대기업 쏠림현상 및 중소·중견기업 인력부족은 불가피한 상황을 맞게 될 전망이다.

셀트리온그룹 역시 전문인력 부족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함께 제약·바이오·케이컬 전문인력 양성방안을 구상중이다. 현재 구체적인 시기를 밝히지 않고 있으나 올해를 넘기지 않을 것으로 에상된다.

◇ 정부 바이오분야 일자리 30만 명 창출…셀트리온 바이오전문인력양성 계획

제약·바이오·케이컬 전문인력은 현재도 부족한 상황이다.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국내 바이오분야에서 30만 명의 신규 일자리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이는 2018년말 기준 87만 명에서 117만 명으로 늘어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바이오협회를 통해 바이오전문인력양성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등 전국 6곳 GMP시설에서 교육과정이 운영중이다. GMP인력양성교육과정은 크게 식품GMP와 의약GMP교육과정으로 나뉜다.

지난해 120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했고, 올해는 이보다 20명이 늘어난 140명을 대상으로 훈련과정이 진행된다.

바이오전문인력 교육과정에는 셀트리온을 비롯해 삼성바이오로직스, 엘지생명과학, 녹십자, 한미약품, 대웅제약, 휴온스 등 100여 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전국 6곳 GMP시설은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을 비롯해 대전테크노파크, 전남생물의약연구센터, 전북생물산업진흥원,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경기바이오센터이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사진=셀트리온그룹 제공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사진=셀트리온그룹 제공

◇ 바이오전문인력 K-NIBRT 구상…BT 첫 도전 춘천 관심

정부는 미래먹거리로 바이오분야를 선정, 바이오전문인력 양성을 직접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모델은 아일랜드 국립 바이오공정 교육연구소인 NIBRT다. 2011년 설립된 NIBRT는 바이오 제약 전 분야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아일랜드는 물론 전 세계 제약기업, 대학 등 인력을 대상으로 기초·응용연구, 임상시험, 인허가 등 연구 전문인재를 양성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정부는 이른바 K-NIBRT, 즉 한국판 NIBRT를 검토중이다. 정부가 제약기업과 함께 투자, 제약사 직원을 보낼 수도 있고 인력을 제약사로 보낼 수도 있는 방식이다.

우선 올 하반기 생산분야 전문 인력을 모델로 오송 생명과학산업단지 등에서 시스템을 시작할 예정이다.

현재 인천 송도가 제약산업 전문인력이 집적화 돼 있어 K-NIBRT 설립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업계는 춘천을 가장 유력한 도시로 꼽고 있다. 1998년 전국 최초로 생물산업벤처기업(BT)분야에 투자한 데다 서울에 인접한 지리적 여건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강원대와 한림대 등 대학은 물론 바디텍메드, 씨트리, 휴젤 등 입주기업들일 속속 코스닥에 상장하고 있다.

아울러 인근 원주 혁신도시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위치한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여기에 생물바이오산업의 산파로 자리매김한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도 있다. 2003년 생물산업벤처기업지원센터와 바이오벤처프라자가 통합된 재단법인으로, 자본력이 미약한 벤처기업들의 연구, 개발, 시제품생산 및 본생산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U-헬스케어사업은 환자-진료-처방-유통 과정을 4차 산업과 연계하는 바이오 e-커머스 플랫폼사업"이라며 "바이오와 케미컬을 아우르는 융합형 멀티 플레이어가 돼야 하는 상황에서 R&D 전문인력과 연구시설 등이 잘 갖춰진 춘천은 경쟁력이 있다"고 말했다.

반면 신산업육성을 위한 규제완화 정책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신기술․신약에 대한 규제완화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인보사 사태와 같이 신약에 대한 인허가 과정이 허술하다는 지적이다.

정의당 윤소하 국회의원은 "인허가 단축, 우선, 신속심사제 도입 등 규제완화를 추진한다면 제2, 제3의 인보사가 나타날 것"이라며 "무분별한 규제완화와 권한을 갖지 못하는 국민의 건강정보에 대한 집적과 활용은 전면 재검토 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