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政, 수입차에 최대 25%관세 적용…90일 이내 결정
獨 벤츠 등 겨냥, 국산차 비켜갈 수도…“국산차업체 3중고”

[소비자경제신문 정수남 기자] 올해도 국산차 판매가 불투명한 것으로 파악됐다. 주요국이 보호무역을 강화하고 있는데다, 국산차가 상대적으로 세계 유수의 자동차 브랜드에 밀리고 있기 때문이다.

24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실제 지난해 국산차 수출은 모두 244만9651대로 전년(253만194대)보다 3.2% 역성장 했다.

국산차 판매(내수+수출) 역시 0.5%(156만202대→155만2346대) 역성장 하면서 2016년부터 3년 연속 감소세를 유지했다.

이중에서도 수출은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6년 연속 하락세를 지속하면서 국산차의 약세를 주도하고 있다.

올해 국산차 수출도 장담하기 어렵다. 쌍용차 티볼리 선적 장면. 쌍용차 제공
올해 국산차 수출도 장담하기 어렵다. 쌍용차 티볼리 선적 장면. 쌍용차 제공

국산차 업체가 10대를 생산해 6대를 수출하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고 업계는 강조했다.

올해도 국산차의 해외 판매가 녹록치 않다.

우선 국산차 수출 2위인 미국 상무부가 자동차 수입으로 국가안보가 위협을 받는다는 결론을 내리면서, 자국 수입자동차에 최대 25%에 이르는 고관세 부과를 추진하고 있어서 이다.

미국이 관세 부과나 수입 제한에 나서면 한국 자동차 산업은 타격이 불가피하다. 고관세가 현실화 되면 올해 국산차의 현지 수출은 65만대 수준으로 전년보다 19.8%(16만대) 급감할 것으로 업계는 예상했다.

아울러 세계 최대 자동차시장인 중국에서도 국산차가 약세를 기록하고 있는 점도 수출 확대에 걸림돌이다.

지난해 중국에서 국산차 판매는 전년보다 0.6% 감소하면서 전년 급락세(36.1%)를 큰 폭으로 줄였지만,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관련 경제보복 이전인 두 자리 수 판매 성장세와는 큰 차이를 기록했다.

중국 역시 올해 경제성장률이 6% 초반대로 낮아질 전망이고, 현지의 보수적인 소비성향도 국산차 판매에는 부정적이다.

아울러 아시아, 중동, 남미 등으로 국산차 수출 역시 꾸준히 감소하고 있어, 이들 지역으로 국산차 수출 확대를 장담할 수도 없다.

다만, 경기 회복기에 있는 유럽지역과 아프리카 지역으로 국산차 수출이 늘고 있는 점은 다소 위안이다.

여기에 국산차가 세계 유수의 완성차 브랜드와 경쟁에서 밀리고 있는 점도 국산차 수출 증가를 어렵게 하고 있다. 단적으로 수입차 브랜드는 2010년대 들어 한국 시장에서 15%대의 고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같은 기간 국산차 성장세는 0.5%에 그쳤다.

자동차산업은 후방 효과가 높은 종합산업이라 부품, 철강, 소재 쪽에도 악영향을 미쳐, 판매 감소가 일자리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심각성이 더 하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국산차 업체는 강성노조, 고비용·저생산, 환율 등 3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현대차 노조가 서울 양재동 현대차 사옥 앞에서 농성을 펼치고 있다.
국산차 업체는 강성노조, 고비용·저생산, 환율 등 3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현대차 노조가 서울 양재동 현대차 사옥 앞에서 농성을 펼치고 있다.

현재 자동차산업의 직접 고용인원은 40만명 수준이지만, 올해 자동차 생산이 6.8% 정도 감소할 경우 일자리는 8만5000개가 사라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최근 나왔다.

김필수 교수(대림대 자동차학과)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벤츠 등 독일차를 겨냥해 자동차 관세 인상을 언급한 점을 감안하면 국산차는 예외가 될 가능성도 높다”면서 “지난해 한미 자유무역(FTA) 재협상에서 이미 픽업트럭 관세를 받아들인 만큼 한국에 관세를 또 부과하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는 평가에서도 미국 정부는 자유롭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국산차 업체는 강성 노조, 고비용·저생산, 환율 등 3중고에 시달리고 있다”며 “국산차 업체들이 경쟁력 있는 신차 출시와 함께 브랜드력을 높여야 세계 시장에서 살아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자동차 관세 25% 부과는 앞으로 90일 이내에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 결정하게 되지만, 미국 정부가 유럽, 중국 등과의 무역협상 카드로 쓰기 위해 결정을 늦출 가능성도 제기됐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