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모 2명 중 1명 산후우울증을 경험

산후조리원 (사진=연합뉴스)
산후조리원 (사진=연합뉴스)

[소비자경제 권지연 기자] 우리나라 산모들은 산후조리원에서 평균 2주간 머물며 220만 원 가량을 지불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에서 산후조리 할 때(평균 96만 원)보다 두 배 이상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셈이다. 산후조리 만족도는 친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모 2명 중 1명 산후우울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보건복지부의 '2018년 산후조리 실태조사'에 따르면 출산 후 6주 동안(산욕기)의 장소별 이용률(중복응답)은 산후조리원(75.1%)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본인집(70.2%), 친가(19.8%), 시가(2.4%) 순이었다. 선호하는 장소도 산후조리원(75.9%), 본인집(17.7%), 친가(6.0%) 순이었고, 25세 미만 산모는 본인집을 선호하는 비율이 29.1%로 높았다. 

만족도는 친가(4.3점)가 산후조리원(4.0점)보다 높았고, 본인집(3.8점), 시가(3.7점)는 낮은 편이었다. 산후조리원 평균 이용 기간은 13.2일, 비용은 220만7천원이었다.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이유로는 '육아에 시달리지 않고 편하게 산후조리를 할 수 있어서'(36.5%), '육아전문가에게 육아 방법 도움을 받기 위해서'(18.7%) 등으로 나타나다. 

이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다른 자녀를 돌보기 위해서'(40.5%)라는 응답이 높았다. 산후조리원에서 모자동실(임산부가 영유아가 같은 공간에서 지내는 것) 시간은 하루 평균 4.2시간에 불과했다. 이에 모자동실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52.4%로 높게 나타났다.

산후조리원 이외 장소 및 산후조리 기간은 본인집(22.6일), 친가(22.3일), 시가(20.3일)였고, 평균 지출 비용은 95만8천원이었다.가장 도움을 많이 준 사람은 친가부모(47.4%), 낮 시간 산후조리도우미(28.9%)순이었고 집에서의 산후조리 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육은 신생아 돌봄 교육(64.3%), 신생아 안전 교육(63.5%)이었다. 

조사 대상자의 실제 산후조리 기간은 평균 4.6주(32.2일)였으나,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산후조리 기간은 8.3주(58.1일)로 희망과 현실 사이에 3.7주(25.9일)의 차이가 있었다. 

만족스러운 산후조리를 위해서는 정부가 산후조리원 경비지원, 가사·육아도우미 지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육아휴직 활성화 등의 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산후조리기간 6주 동안 산모의 50.3%가 산후우울감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조사 당시(출산 후 9∼20개월) 산후우울 위험군은 전체의 33.9%에 달했다.우울감 해소를 위한 도움을 받지 못했다는 응답이 22.0%였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출산한 산모 2천911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실태조사는 지난해 처음으로 실시됐으며,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 증진 정책수립을 위해 앞으로는 3년마다 실시된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