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 일자리는 줄고, 자영업자는 긴축운영...팍팍해진 2019년 새해 일상들

(사진=연합뉴스)

[소비자경제 최빛나 기자] 경기도 의왕시에 사는 맞벌이 엄마 이 모씨는 정부에서 운영하는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깊은 고민에 빠졌다. 

부부가 일하는 시간에 아이를 전문적으로 볼 수 있는 사람을 고용해야 하는데 사설을 이용하는 것 보다 정부 지원이 들어가는 아이돌봄서비스가 더 저렴하기 떄문이다.

하지만 이 조차도 이제 부담이 되기 시작했다. 올해부터 8350원 큰폭으로 상승한 최저임금 인상으로 이용료가 크게 급증했기 때문이다.

이 모씨는 <소비자경제>의 인터뷰에서 "사설을 이용하지 않고 정부에서 지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는 전국 모든 엄마들이 같은 마음이다. 월 20만원 정도만 내고 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올해부터 작년보다 더 오른 8천원 대의 최저임금인상 때문에 20만원에서 40만원 남짓 약 두배가 올랐다. 작년에 한차례 올랐을때도 힘들었는데 지금은 더 부담 되서 회사를 그만둘까 고민 중"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최저임금 인상 뉴스가 나올 때는 남의 이야기라고 생각했다"며 "아직 비용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얼마나 더 오를 지 걱정"이라고 덧붙였다.

시간당 최저임금이 8350원으로 인상된지 열흘째지만 각 기업들과 소비자 들의 혼란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저임금에 추가 가계 지출 늘고 자영업자는 울며 겨자먹기 편법대응  

이처럼 최저임금 인상 여파가 맞벌이 부부에게도 때아닌 고민을 안겨 주고 있다. 최저임금이 인상됐지만 월급은 동결되거나 지출 비용은 약 1.6배 정도 늘었기 때문. 

정부에서 운영하는 아이돌봄서비스 이용 비용은 지난해 시간당 7800원에서 올해 9650원으로 23%가 급증했다. 한낮 대부분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정에서는 부담되는 금액인 것이다. 이 때문에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개선을 요청하는 글이 잇따르고 있다.

여기에 아르바이트 자리를 구하기 위한 구직자들은 '일자리난'이라고 부를 만큼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반면 자영업자들은 인건비를 감당하기 위해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편법 대응에 나서고 있어 정책의 혼선이 전 사회적으로 퍼지는 모양새다.

10일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몬에 따르면 최근 서울 모 커피숍 모집공고에 하룻동안 1951명이 조회했다. 이 커피숍은 2019년 최저임금 8350원보다 50원 많은 8400원을 시급으로 제시했다.

알바 구직난도 갈수록 심각해진 상황. 인크루트가 운영하는 알바콜이 알바생 606명을 대상을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저임금 인상으로 구직이 어려워졌다는 대답이 29.7%에 달했다. 알바생 3명 중 1명이 최저임금 인상으로 실제 구직난을 겪었다는 것이다.

서울 여의도의 한 편의점 점주는 취재진에게 "최저임금 인상 때문에 편의점 점주들은 거의 본인이 직접 현장에 나간다. 하지만 모든 시간을 할애 할 수 없어 어쩔수 없이 알바생 모집 공고를 냈다"라며 "예정과 달리 하루만에 10명이 넘는 지원자들이 있어서 새삼 최저임금인상의 여파가 이렇게 크구나라고 느꼈다"고 전했다.

이러한 구직난은 자영업자들이 최저임금 인상에 몸으로 직접 뛰는 긴축경영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자영업자들이 모인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대응책을 공유하는 내용이 쏟아지고 있다.

주 15시간 이상 근무자에게만 주는 주휴수당을 주지 않기 위해 14시간만 근무시키는 '쪼개기 알바'는 기본이다. 편의점의 경우 대부분의 시간은 점주가 운영하고 발주한 물건이 들어온 뒤 진열을 위한 2시간만 알바생을 쓰는 방법이 나오고 있다. 식당 등에서도 가게영업 전 재료손질 시간이나 일손이 많이 필요한 마감 시간에만 알바생을 쓰는 경우도 많아지는 추세다.

유튜브에서는 노무사가 알바생에게 해고 예고수당을 주지 않는 법을 알려주는 동영상도 나왔다. 수습 기간을 최대 3개월까지 설정할 수 있는데 계약서에 수습기간을 명시해 문제가 있어 3개월 이내 해고하면 해고 예고수당을 주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한 기업경제연구소 연구원은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최저임금의 파격적인 인상으로 인해 일자리부터 유통, 기업경영 등 사회 구조 모두가 불안하게 흔들리고 있다. 이는 과정"이라며 "기업과 정부에서는 이런 상황 속에서 국민들의 불안감을 줄이기 위해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방향성을 정확히 잡아 줘야 할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