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나주시 한전KDN 본사 전경.
전남 나주시 한전KDN 본사 전경.

[소비자경제 권지연 기자] 한전KDN이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파견근로자의 정규직 전환 협의가 늦어지고 있다는 지적을 받은 정규직 전환 속도에 박차를 가했지만 여전히 전산분야는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한전의 자회사인 한전 KDN은 지난해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직고용을 결정하고 사무보조, 전산, 통신, 기타 4개 분야로 나누어 노사전협의체를 꾸려 실무협의를 진행했다. 

이중 통신과 기타 분야로 채용된 78명은 2일부터 출근해 신입사원들과 함께 4일 입사식을 가졌다. 또 사무보조 43명에 대한 채용 공고가 진행 중이다. 

또 2018년 10월 31일에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자 160명의 정식 채용을 마무리 했다. 앞서 채용됐으나 미처 입사식을 갖지 못한 시설·경비·미화 노동자 66명의 입사식이 10일 열리기도 한다.  

하지만 전산 분야만큼은 여전히 협상에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중소기업 진흥이 장려되는 경우에는 정규직 전환에 예외를 둔다’는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이 걸림돌로 작용하면서 소모적인 논쟁만 거듭하다 해를 넘겨서도 협상에 진전을 이루지 못하는 상황이다. 

한전 KDN 전문가 위원으로 참여한 중앙대학교 이병훈 교수는 “정규직 제외 사유에 해당한다고 했으나 일부라도 정규직 전환을 할 수 있다면 좋겠다고 했는데 아직 협의가 끝나지 않았다”고 전했다. 

한전 KDN은 상시지속 인원 중 160명 중 29명만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안을 제시한 상태다. 하지만 노동자측에서는 상시지속 인원 160여 명 전원 정규직 채용 요구안을 견지하고 있다. 

앞서 전산직 근로자 506명 중 상시지속으로 인정된 40%(160명)의 직고용은 크게 무리가 없을 것으로 기대했던 만큼 실망감은 더 클 수밖에 없다. 

한전 KDN입장에서는 전산 관련 업무를 수주 받아 수행하는 입장에서 전산직 노동자들을 다 안고 가기에는 부담이라는 입장이다. 

게다가 “지난해 협력사 숫자가 84개 업체까지 치솟았다”며 “이런 상황에서 중소기업 소프트업체들의 반발도 거세 이해관계를 좁히기가 어렵다”고 입장을 피력했다. 

반면 “전산분야에서 메인 수입원이 발생하는 ICT분야의 유일한 공기업인 한전 KDN에서 전산직 노동자들의 직고용을 꺼리는 것은 핑계에 불과하다는 것”이 노동자들의 입장이다. 

정부평가를 잘 받아야 하는 한전 KDN 입장에서는 이러한 전산직 노동자들의 요구를 마냥 무시할 수도 없는 노릇이어서 협상이 어떻게 매듭지어질 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