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2월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은행 본점에 노조의 총파업을 알리는 현수막이 부착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소비자경제 권지연 기자] 전국 1057개 지점을 둔 KB국민은행 총 파업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금융권에 긴장감이 극에 달하고 있다. 노사 양측이 마라톤 협상에도 끝내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국민은행은 2000년 주택은행과 합병 당시 파업에 돌입한 이후 19년 만에 총파업에 돌입하게 된다.

금융권에 따르면 어제 오후에도 노사 실무진들이 만나 양측 대표의 협상을 위한 사전 논의를 진행했고 어젯밤에는 KB국민은은행장과 박홍배 노조위원장 등이 만나 밤샘 협상을 이어갔다. 

총파업 하루 전날인 오늘까지도 막판 릴레이 협상이 진행 중이다. 

금융산업노동조합은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일부 협의가 진전된 사항도 있으나 여전히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어 오늘 오전 11시 30분께부터 다시 협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국민은행 노사는 지난해부터 임금인상과 성과급 지급, 임금피크제 돌입 시기 등을 놓고 협상을 벌이고 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 협상 쟁점은?...성과급 ·임금피크제 진입 시점 등 

우선 가장 첨예하게 갈등이 빚어지는 지점은 성과급이다. 노조는 지난해 KB국민은행이 사상 최대 실적을 올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현행 기준에 따라 2017년과 같은 수준인 기본급 300%수준의 성과급 지급을 요구했다. 하지만 사측은 200% 이상 수준의 성과급 지급을 제안하고 있다.

임금피크제 진입 시점도 민간한 부분이다. 노조는 임금피크제 진입 시점을 56세로 1년 연장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사측은 임금피크제 시점이 이원화 되어 있는 것을 일원화시키기 위해 앞당기겠다는 입장이다. 

KB국민은행은 현재 임금피크제가 이원화되어 있어 부장과 지점장의 임금피크제 진입 시정이 팀장 또는 팀원보다 5.5개월 빠르게 진행된다. 

따라서 KB국민은행은 임금피크제 시기를 일원화 해 1964년 생 직원들은 업무와 상관없이 내년 1월 또는 7월부터 임금피크제를 적용하겠다는 방안을 내놓았다. 부점장과 팀장급 이하 직원의 임금피크제 적용 시점이 일치되도록 제도 개편을 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노조는 이미 산별 합의를 통해 임금피크제 진입 시기를 현재보다 1년 연장하기로 한 만큼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서고 있다.

점심시간 1시간 보장안을 두고도 노조와 사측은 부딪히고 있다. 노조는 점심시간 1시간 동안 PC오프제를 통해 완전히 쉴 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는 반면 회사 측은 점심시간으로 못 박지 않고 전체 휴게시간 1시간을 보장해주는 수준으로 합의하겠다는 입장이다. 

마지막 쟁점은 페이밴드(직급별 기본급 상한제)다. 노조는 페이밴드 전면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페이밴드를 전 직원 확대를 주장했던 사측은 현행 제도를 유지하는 선으로 절충안으로 내놓았아 논쟁이 축소되는 모양새지만 온전히 합의를 보지는 못했다. 

◇ 노사 양측 갈등의 골 깊어져...고객 혼란 불가피 

이에 노조는 협상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오늘(7일) 저녁 서울에 집결해 전야제를 연 뒤 8일 하루 1차 파업을 진행하고 월말쯤 다시 대규모 파업을 이어갈 것을 예고했다.

이와 관련해 국민은행 경영진 54명은 총파업으로 영업 차질이 생길 경우 이에 대한 책임을 지겠다며 허인 행장에게 사직서를 일괄 제출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노조측은 사측의 무리한 총파업 방해 시도가 있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사측에 대한 진정을 제기하기로 한 상태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KB국민은행지부에 따르면 경영지원그룹대표가 지난 3일 부점장에게 전달한 '총파업 관련 복무 유의사항 통지'에는 총파업 참여하는 직원은 인사시스템 근태관리에 '파업 참가'를 등록하라는 지시 내용이 담겼다. 

이에 대해 노조측은 “총파업에 참여하는 직원들은 인사기록에 남겨두겠다고 이미 공지한 것으로 유추되는 대목”이라고 주장했다.

박홍배 위원장은 "2년 전 (금융권) 총파업 당시만 하더라도 '결근' 항목만 있고 '파업 참가' 항목은 없었는데 이번에 신설됐다"며 "인사상 불이익을 암시하는 전근대적인 인권침해 행위"라고 지적했다.

금융노조 역시 “불이익을 줄 목적이 아니라면 노동자의 적법한 쟁의행위 참여를 인사기록으로 관리할 이유가 전혀 없다”면서 “힘이 없는 노동자들로서는 당연히 협박으로 들릴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노사 갈등의 골이 깊어지는 가운데 KB국민은행 이용 고객들의 혼란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국민은행은 총파업 돌입에 대비해 비조합원 활용 방안과 거점점포 운영 준비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고객 이탈까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은행을 주거래 은행으로 이용하는 고객들은 SNS를 통해 “이 참에 주거래 은행을 바꾸겠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는 모습이다. 

국민은행 점포수는 1천57곳에 달하며 이용고객 수는 지난해 11월 말 기준 3천110만명으로 추산된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