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소비자경제신문=최빛나 기자] 국내 편의점업계가 최근 영업 부진과 편의점 과열 출점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내년 경기 침체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 속에 우후죽순 늘어나고 있는 편의점 경쟁이 심해지는 등의 구조적 영향까지 겹치면서 편의점 점주들의 불만이 날로 치솟고 있다.

역삼동에서 M 편의점을 운영하는 점주 정가은씨(가명)는 <소비자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지나오면서 봤겠지만 이 좁은 골목에 편의점이 4개나 있다. 앞에 공사하는 곳에 또 다른 편의점이 들어온다고 한다"며 "이런 문제가 하루 이틀만에 생긴건 아니다. 정부에서 어떤 기준점을 세워주지 못한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하소연한다.

그는 "출점 경쟁이 높아지고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우리 같은 점주들의 매출은 줄었지만 점포수를 늘려가고 있는 본사의 영업이익은 증가했다"며 "정말 죽을 맛"이라고 토로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9일 청와대에서 공정경제 전략회의를 통해 편의점 운영 개선안이 국민 체감형 정책의 첫 번째 과제로 꼽은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 편의점 작년대비 1만 3000개 늘어...'한집 건너 편의점'

앞서 국회 정무위 소속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5일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제출받은 ‘주요 편의점별 매출액 및 가맹점 현황’ 자료를 보면 최근 3년간 빅5 편의점 가맹점이 1만3000개 이상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작년 말 기준으로 편의점 빅5(GS25, CU, 세븐일레븐, 미니스톱, 이마트24) 가맹점만 4만개에 육박한다. CU와 GS25가 업계 1등 경쟁을 하고 있고,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미니스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지난해에만 887개의 가맹점이 늘어난 이마트24(2652개)가 가맹점 수에서는 미니스톱(2501개)에 앞서고 있다. 그 배경에는 2013년 말 신세계그룹이 편의점 사업에 진출하고 2014년 거리제한 규제까지 폐지되면서 업계 전반에서 출점경쟁이 과열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가맹점이 늘자 지난해 편의점 업계 가맹본사의 총 매출액은 25조2543억원을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는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편의점 본사들이 점포수를 적극적으로 늘리고 있는 추세다. 그 이유는 혼밥, 혼술, 가정간편식을 찾는 등의 소비 동향도 바뀌고 있어 편의점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기때문이다"며 "점포수는 기하학 적으로 늘어나고 최저임금도 올라가는 등의 문제는 편의점을 운영하는 점주들에게는 최악의 상황인 것은 사실"이라고 전했다.

이어 "하지만 편의점본사들은 나몰라라 하는 눈치다"며 "정부와 편의점 본사들이 조율을 해서 점주와 편의점 업계가 같이 상생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편의점 업계 매출액 '늘지만'...점주들은 한숨 '늘어'

편의점이 늘어나고 매출액이 급증함에 따라 편의점본사의 영업이익은 덩달아 올랐다. 이마트24를 제외한 빅4의 영업이익을 합하면, 2014년 3000억원에서 2016년 4553억원으로 2년만에 50%이상 급증했다. 반면 편의점주의 매출액은 줄었다. 지난해 편의점 점포당 월평균 매출액은 전년대비 170만원 줄었다. GS25는 월평균 237만원, 미니스톱 233만원, 세븐일레븐 151만원, CU 114만원 순으로 각각 감소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편의점은 국내 가맹점 전체 매출액(2015년 기준 50조 3천억원)에서 비중이 25.3%로 가장 컸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6.5% 줄어들며 유일하게 뒷걸음질 쳤다.

편의점 영업이익을 월 소득으로 환산하면 155만원 수준으로, 올해 최저임금을 월급으로 환산한 157만3천770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에 정 점주는 "본사의 과다출점을 막고,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는 다 같이 죽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지난 수개월 편의점주들이 최저임금 인상에 반발하며 나섰지만 편의 점주들은 사실상 정부보다는 본사의 협상이 더 필요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편의점 시장이 이렇게까지 과열경쟁으로 치닫게된 원인은 편의점본사의 무차별 출점이다. 출점당시 약속한 만큼의 수익을 못내는 점포에 최저수익을 보장해줘야 한다"며 "그럼에도 버틸 수 없는 점주에게는 희망폐점이 가능하도록 해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정부 과잉문제 해소 위해 자율규약안 심사중....해소될까?

이와 관련해 공정위는 가맹본부·가맹본부단체가 점포 과잉문제 해소를 위해 만든 가맹거래법상 자율규약안을 심사하고 있다.

이 안에는 최근 개선안으로 주목을 받은 편의점 근접 출점 제한 등을 포함해 개점·운영·폐점 모든 단계를 망라한 안이 담긴다는 것이 공정위의 설명이다.

공정위는 편의점을 출점할 때 다른 브랜드 편의점과의 거리 제한을 강제하는 방안에서 그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보완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과밀 출점 문제를 개선해야 하지만 개별 상권 상황 등을 구체적으로 고려 않고 일률적으로 출점 제한 거리를 강제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편의점 업체들도 잇따라 상생방안을 내놓고 있다.

지난해 10월 GS를 필두로 CU, 미니스톱이 차례로 상생안을 발표했다. GS25는 최소수입보장 400억 지원, 심야 전기료 350억 등 연 750억원 직접 지원하고, 점포 시스템 개선에도 5년간 5000억 투자키로 했으며, CU(씨유)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가맹점주들과 상생협약을 맺고 5년간 최대 4천500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하지만 최저임금이 두 자릿수로 인상되자 갑자기 부처들이 나서며 만나자고 하자 지원책을 내놓으라는 압박으로 들리고 있다고 하소연한다.

편의점 본사 관계자는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현재로선 정부가 어떻게 나올지 상황 추이를 보고 있다. 정부에서 먼저 움직임이 있어야 기업도 그에 맞게 준비해야하는 것이 일의 순서일 것같다”면서 “정부 정책 문제에 대해 개별 기업이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데 기업이 해결하라는 것같은 상황으로 보여지고 있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이에 정 점주는 "정부와 기업에서 내놓는 아직은 '미정'인 정책안들이 과연 점주들은 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며 "상생하는 방안을 심사하겠다는 내용은 매년 매달 듣고 있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건 없다"고 하소연 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