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어기구 의원실)
(사진=어기구 의원실)

[소비자경제=오아름 기자]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의 질적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1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중기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스마트공장 보급 현황’에 따르면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동안 정부 지원 3495개, 민간 지원 1508개 등 총 5003개의 중소기업에 스마트공장을 지원, 보급했으며, 지원된 예산은 2669억원에 이른다.

올해는 지난 9월까지 1137개의 기업이 지원대상으로 선정됐다.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지난 3월 8일 혁신성장 선도사업의 일환으로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2만개 보급추진을 목표로 한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정부가 양적 보급 확산에 주력하면서, 상대적으로 질적 수준은 등한시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있다.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은 ICT 활용정도에 따라 4단계 수준으로 구분한다. 공장내 생산정보를 디지털화하고, 제품의 생산이력을 관리하는 △기초 수준 △생산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분석하는 △중간1 수준 △시스템을 통해 생산공정을 제어하는 △중간2 수준 △그리고 맞춤형 유연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지능형공장인 △고도화 수준으로 나뉜다.

정부가 현재까지 보급한 사업 중 기초 수준에 76.4%가 집중됐으며, 중간1 수준이 21.5%인 반면, 중간2 수준 2.1%, 고도화 수준의 구축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어 의원은 “4차산업혁명에 대비한 제조업 혁신 가속화를 위해 스마트공장 보급을 확대하는 것은 바람직한 정책방향”이라며 “정부는 양적 보급 확산 뿐만아니라, 스마트공장 보급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방안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