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A씨는 지난 6월 약 500만원짜리 오토바이  XQ250을 구입해다. 하지만 사자마자 엔진과 미션 등에서 문제가 생기더니 한 달 넘도록 수리만 반복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소비자 A씨는 지난 6월 약 500만원짜리 오토바이 XQ250을 구입해다. 하지만 사자마자 엔진과 미션 등에서 문제가 생기더니 한 달 넘도록 수리만 반복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소비자경제신문=권지연 기자] 국내 오토바이 제작업체 중 1위를 달리고 있는 대림오토바이의 소비자 정책에 대한 불만이 제기됐다. 

퀵 서비스 생계 수단으로 대림오토바이가 올 해 출시한 오토바이를 약 500만 원 주고 구입한 A 씨는 <소비자경제>에 “AS에도 불구 반복적으로 오토바이에 문제가 생기면서 제대로 일도 못하는 상황"이라고 제보했다. 

그는 "주행 중 연기가 나거나 시동도 꺼져 매우 위험함을 느꼈는데도 대림오토바이는 적극적인 문제 해결은커녕 자신들에겐 권한이 없으니 봐달라는 식의 말도 안되는 말로 애를 먹이고 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 취재 진행되자 "환불 또는 교환 해주겠다"

A씨는 AS센터에서 같은 수리를 5번이나 받아야 했다. 대차 서비스를 받기 위해 왔다 갔다 하면서 일에도 큰 지장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A씨는 “오토바이를 산 지 이틀 후부터 오토바이 시거잭이 고장 났고 시동 꺼짐과 미션 소음이 발생했다. AS센터에서 시거잭을 교체했지만 나머지는 신 차라서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해서 그냥 가지고 왔다. 그리고 바로 다음 날은 라지에다 쪽 리저브 탱크가 터졌다”고 설명했다. 

리저브 탱크가 터졌다는 것은 수리 중 혹은 운행 중 엎어지는 등의 충격이 가해졌다는 의미다. 

A씨의 오토바이에서 결함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자, 대림오토바이 본사 공장으로 오토바이를 보냈지만 2주 후 돌아온 오토바이 미션은 중고였고, 휠 펌프에서까지 소음이 발생하고 리저브탱크도 깨져있었다. 

그는 “미션은 심하게 얼룩져 있어 물어보니 말도 없이 중고로 갈았다”면서 “2주씩이나 기다리게 해 놓고 부품이 없으면 말이라도 해줘야지 말도 없이 중고로 가는 것은 소비자를 기만하는 것 아니냐”며 울분을 토했다. 

A씨가 교환이나 환불을 요청했지만 대림오토바이는 “해 줄 수 없다”고 못 박았다. A씨는 “그러면 제대로 고치기라도 해 달라”고 하자, “그것도 장담을 못 한다, 원인을 규명 중이다”라며 발뺌만 하고 있다며 하소연을 했다. 

서비스센터와 본사가 서로 떠넘기기에만 급급한 행태를 보이는 것도 A씨의 화를 돋게 했다. 

생계 수단으로 구입한 오토바이의 결함 원인도 모른 채 불안하게 끌고 다녀야 하는 것도 문제지만, 지난 한 달 동안 오토바이 때문에 발생한 심적 스트레스도 상당했다. 

해당 사항과 관련 취재가 시작되자, 대림오토바이는 결국 소비자가 원하는 환불 또는 교환을 약속했다. 

그러면서도 취재진의 “오토바이 시동이 계속 꺼지고 연기가 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상황 아니냐”는 질문에는 “오토바이는 불이 잘 안 난다. 연기가 났다는 것은 냉각수 통이 터져서 엔진의 뜨거운 쪽으로 찬 기운이 가면서 수증기가 발생한 것이다. 수증기가 연기처럼 보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대림자동차 측의 설명처럼 오토바이에서 불이 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하지만 연기가 나는 원인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잘 따져봐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실제로 냉각수가 터져서 발생한 수증기라고 인정하더라도 냉각수가 터지면 냉각수가 제대로 돌지 않게 돼, 결국 엔진 과열로 오토바이가 서 버릴 수 있다"면서 "주행 중 시동이 꺼질 경우 오토바이는 자동차보다 훨씬 더 위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교환 또는 환불’에 관한 명확한 기준이 없는 것 아니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대림오토바이는 “서비스에서 만큼은 자부심이 있다. 소비자 불만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소비자경제>가 취재 과정에서 해당 고객센터에 수차례 연락했지만 연결 음만 반복될 뿐 이조차 연결되지 않았다. 

대림오토바이는 “고객센터 직원 3명이 전국의 모든 서비스 상담을 진행하고 있어 어려움이 있다”고 둘러댔지만 결국 서비스가 취약함을 실토한 셈이다. 

◇ 국내 오토바이 산업의 후퇴가 빚은 서비스 후퇴? 

대림오토바이는 올 해 1월 1978년 설립돼 국내 이륜차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인 대림자동차에서 인적 분할로 법인이 분립됐다. 이로써 대림산업의 계열회사 수는 26개사에서 27개사로 변경됐다. 

법인 분할 당시 대림자동차가 40년을 공들인 오토바이 사업에서 손을 떼는 이유에 관심이 집중되기도 했는데, 이 때 대림오토바이 직원의 상당수가 대림자동차로 이동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분할 당시 대림오토바이사의 직원은 148명이었다. 하지만 이중 43명이 대림오토바이에서 근무하기를 거부했다. 10년 이상 지속된 대림오토바이의 적자누적과 고용 불안 및 사업성 불안이 원인이었다. 

대림산업의 계열사인 대림자동차(대림자동차공업)는 고 이재준 대림그룹 회장이 지난 1982년 기아자동차 계열사로 오토바이를 생산하던 기아기연을 대림공업(1978년 설립)으로 합병하면서 설립됐다. 

1990년대 중반 유통구조가 변화하고 택배산업이 발달하면서 국내 이륜차 시장 규모는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대림자동차는 배기량 125cc 이하의 배달용 스쿠터를 주력으로 판매했다. 

한 때 중국집과 야식집 배달용 오토바이는 모두 대림자동차에서 생산한 오토바이가 주름잡았다. 

승승장구하던 국내 이륜차 시장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하락세를 맞았다. 

1997년 연간 30만대에서 1998년 14만대로 뚝 떨어졌고,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에는 9만~10만대 수준에 그치고 있다. 

대림오토바이 관계자는 “혼다, 스즈키 등 수입산 이륜차들이 인기를 끄는데다 2012년 50cc 미만 오토바이도 보험가입이 의무화 돼, 수입이 반 토막이 났다”고 토로했다. 

이어 “환경 규제도 심해졌다. 이에 부합한 조건을 맞추기 위해 가격이 높아지다보니 고객이 이탈했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생산으로는 가격을 맞추기 힘들어 진 상황. 

대림오토바이도 이미 약 7년 전부터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전환을 시작해 중국에 있는 공장에서 오토바이를 생산하는 실정이다.

대림자동차 노동자들이 고용불안을 느끼는 것도 이 같은 이유가 한 몫을 차지했다. 

부품 조달이 지연되거나 동일한 부품에서 반복 결함이 발생해도 문제 해결 능력이 떨어지는 이유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결국 산업의 경쟁력이 떨어지면서 서비스 수준도 떨어지고 가격은 물론 서비스 수준까지 떨어지니 수입 오토바이 제품에 밀리는 악순환을 반복하는 셈이다. 

◇ 허술한 정비 제도도 손봐야

자동차관리법 제2조 8에 따르면 “자동차정비업이란 자동차(이륜자동차는 제외한다)의 점검작업, 점비 작업 또는 튜닝 작업을 업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고 명시 되어 있다. 

이륜자동차는 자동차로 분류하고 있지만 자동차정비업 의무 대상에서는 제외돼 있다. 등록제가 아닌 신고제인 만큼 이륜차 정비 자격을 갖춘 정비사를 고용할 의무도 없다. 

불량정비나 불법 개조 등으로 문제가 발생해도 이에 대한 명확한 판단 기준이 없어 처벌할 법적 근거와 행정 규제 수단도 없다. 

이륜차 사고 발생 시에도 기계적 결함 요인보다는 도로환경이나 운전자 과실 측면이 집중적으로 조사되는 경우도 많은 것도 문제다. 

이에 안전 관리 및 사고 조사기준을 자동차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김필수 교수는 "한국 이륜차 산업과 문화는 매우 후진적이고 법도 낙후되어 있다. 무관심 속에 아무것도 정비가 안 된채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다"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