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선영 기자

[소비자경제=임선영 기자] 우리 생활 속에 깊이 자리하며 편리함을 주었던 카카오 택시가 이용자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승객 목적지를 공개하지 않기로 했던 카카오택시 '스마트 호출'이 출시 사흘 만에 목적지 비공개를 철회했다.

카카오는 지난 10일 이용자에게 1천원의 요금을 추가 부담하게 하는 유료서비스 '스마트 호출'을 선보였다.

앞서 카카오택시는 최대 5천원까지 지불하는 유료 서비스를 선보이려다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국토교통부까지 제재에 나서자 1천원으로 하향 조정하며 한발 물러선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택시에서 택시 호출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배차시스템 '스마트 호출'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승객의 목적지가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택시를 잡기 힘든 서울 외곽 지역 이용자도 쉽게 택시를 배정받고 탈 수 있었다. 그러나 금액 1천원 중 택시기사에게 돌아가는 금액은 600원뿐이었다.

택시기사들은 이처럼 낮은 보상만 받고 손님을 다시 태우기 어려운 곳으로 가면 손해가 더 크다며 유료 호출을 잇달아 거부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 때문에 오히려 승객들은 택시를 잡기가 더욱 어려워진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이용자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결국 카카오는 서비스 개시 후 사흘 뒤인 지난 13일 택시기사에게 이용자 목적지를 공개하기 시작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택시 기사들이 스마트호출에 대해 경험이 없어서 호출을 안 받는 것 같다"며 "일단 경험을 많이 해보도록 하는 차원에서 목적지가 뜨도록 한 것이며 추후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이용자들은 "목적지가 공개되는 방식으로 바뀌면서 서울 외곽 지역 이용자들은 다시 호출을 잡기 힘들게 됐다"며 1천원이라는 웃돈을 왜 내야 하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편하게 이용자들이 택시를 탑승하라고 만든 서비스가 오히려 이용객들과 택시 기사 둘 다 역효과를 내고 있는 모양새가 됐다.

이는 택시기사들의 마인드와 교육을 실시하거나, 택시 기사에게 돌아가는 수수료를 올리거나 하는 방법이 아니면 택시의 승객 골라 태우기는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

사실 택시기사의 승객 태우기 문제만 제기된 것이 아니다. 택시는 잦은 신호위반이나, 승차거부, 미터기 조작 등 많은 문제점이 이용객들을 불편하게 하고 있다. 버스나 지하철처럼 대중교통으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이 생기는 것이고, 제도화 된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에 유난히 택시에 대한 이용객들의 불만이 많은 것이다.

택시 또한 대중교통으로 분류되는 만큼 버스 기사와 같은 제도가 적용돼야 한다는 여론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택시는 대중교통으로 분리되지 않더라도 체계화된 교육과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이용객들의 불만이 줄어들 것이다. 또 기사들을 선발할 때에도 지금보다 엄격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꼼꼼한 면접과 자질검사, 그리고 서비스직이라는 마인드 교육이 갖춰져야 하는 것은 물론, 택시기사 자격증을 별도로 만드는 것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