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美 AI 다양한 분야 발전...韓 규제완화 절실

(사진=pxhere)

[소비자경제=정세진 기자] 각종 법률상담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인공지능 로봇 변호사가 2년 전 개업 이래 영국과 미국 등지에서 소비자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두낫페이(DoNotPay)’라는 이름의 이 로봇 변호사는 교통티켓 관련 상담에서 시작했으며 향후 법률문서 작성 등으로 서비스 영역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두낫페이는 21개월 동안 25만건의 상담을 받았으며 16만건의 주차딱지를 취소시켰다. 지금까지 두낫페이를 통해 뒤집힌 판결은 64%에 이르며, 취소된 벌금만 400만달러이다.

두낫페이가 지원하는 법률문서는 출산휴가 요청, 건물주와의 분쟁, 보험청구 등 다양하다.

이처럼 인공지능(AI)은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분야로 진출하면서 다양한 활약상을 보여주고 있다.

2018년 IT분야의 주요 화두이기도 한 AI 상용화는 현재 어디까지 와 있으며, 한계는 무엇일까.

우리나라 인공지능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업체로는 23일 ‘2017 특허경영대상’을 수상한 셀바스 AI를 들 수 있다.

셀바스 AI가 중심을 두는 분야는 지식재산권이다. 이곳에서 지금까지 개발된 AI 기술로는 음성지능, 필기지능, 영상지능 등과 이를 융복합한 기술들이 있다.

​그 중에서도 인공지능 기술과 건강검진 데이터를 활용한 ‘셀비 체크업’과 음성인식 엔진을 탑재한 의료녹취 서비스 ‘셀비 메디보이스’ 등은 국내 대형 병원 등에서 이미 상용화됐다.

한 AI 업체 관계자는 “최근 우리 사회에서 ‘유병장수’와 ‘삶의 질’이 큰 화두가 되고 있는 만큼 실버계층을 겨냥한 의료서비스 분야가 특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금융권에서는 보안을 위한 사기거래탐지시스템(FDS)에 AI가 적용되고 있다. 특히 머신러닝과 딥러닝, 기계학습 기반 등의 기술이 도입됐다.

금융사들은 머신러닝을 적용한 FDS를 통해 탐지율을 향상시키고 이상행위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해외에서는 페이팔, 빌가드, 도로(D’Oro), BAE 시스템, US 뱅크 자금세탁 방지 시스템 등에서 머신러닝 혹은 딥러닝 기반 FDS가 활용되고 있다.

기계학습 기반 FDS는 수학이나 통계, 머신러닝 등의 알고리즘을 사용해 룰 생성과 반영, 새로운 사기 패턴 발견 등을 자동화하고 사기 패턴을 일반화해 정확도를 높였다.

통번역 분야에서도 인공지능 도입이 확산되는 추세다. 국내에서는 네이버의 '파파고'와 구글의 '구글 번역',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지니톡'이 톱3를 이루고 있다.

사물을 센서와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IoT 기술도 AI와의 접목으로 그 기능이 훨씬 다양해졌다.

가령 지형지물과 통신하며 안전운행을 하는 자동차, 전력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동시에 에너지를 절약하는 친환경 스마트 빌딩 등이 그 예이다.

또 3D 프린터에 AI가 탑재되면 특정인의 체형과 취향 등의 데이터를 분석, 스포츠화나 각종 건강관련 기기 등을 만들어낼 수 있다.

IT 업계 관계자들은 AI 상용화 확대를 위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정부 규제의 완화를 꼽는다.

가령 빅데이터의 경우 현행법상 개인정보 데이터를 기술과 서비스 개발에 활용할 수 없다 보니 한계가 있다.

정부가 지난해 6월 제정한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은 법적 구속력이 없다보니 법 개정 등 보다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업계에서는 말한다.

금융 산업에서는 산업자본의 금융권 진출을 막는 은산분리가 걸림돌로 지목되고 있다. 다만 최근 카카오뱅크 등 인터넷 전문은행이 등장하면서 완화 움직임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모습이다.

한 IT 전문가는 “세상이 너무나 빨리 변하고 있는데 정부 관계자들은 아직도 기존의 룰에 얽매어 있다”며 “전향적인 태도로 돌아서지 않는다면 해외에 AI 시장을 모두 뺏길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