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업체 "시험 성적서 공개 곤란...성능 검사 필수 아니다"

국내에서 수입 공기청정기에 대한 성능검사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진=공기청정기웹사이트)

[소비자경제=나승균 기자] 미세먼지가 사회적인 근심거리로 떠오르면서 소비자들이 수백만원을 호가하는 외제 공기청정기를 해외 쇼핑몰을 통해 직접 구매하는 건수도 급증하고 있다.

문제는 해외에서 수입해온 공기청정기의 성능과 기능을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점이다.

한 해외배송대행서비스 업체에 따르면 올해 3월과 4월 공기청정기 해외 구매 건수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40%이상 증가했다. 

미세먼지로 인해 공기청정기에 관심을 갖는 소비자의 수가 늘어난 것이다. 그러나 최저 100만원에서 최고 1000만원대까지 육박하는 일부의 고가 수입 공기청정기에 대한 성능 검사 기준이 따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 공기청정기들은 미국 FDA승인이나 생산 국가의 인증을 받은 것으로 판매·홍보하고 있다. 이들 공기청정기는 대부분 국내에서는 집진효율, 탈취효율, 적용 평수 등의 실제적인 공기청정 효과에 대한 성능 검사를 받지 않았다. 심지어 FDA 승인을 받았다고 홍보하는 업체에서는 승인서조차 확인할 수 없는 업체도 더러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 미국 공기청정기 공식수입원 관계자는 <소비자경제>의 통화에서 국내로 수입한 공기청정기의 성능 검사를 받는지에 대한 여부와 시험 성적서를 받을 수 있냐는 질문에 “KCL 검사를 받았으나 시험 성적서는 유출의 위험에 있어 공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또 다른 공기청정기 수입업체 관계자는 “미국 본사나 캐나다 본사에서 측정된 자료를 받아 오며 이 시험성적서를 근거로 판매한다”며 "정부 주도의 특별한 성능 검사 기준같은 것은 없다"고 밝혔다.

수입 공기청정기에 대한 성능검사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진은 인터넷에서 판매중인 수입 공기청정기들. (사진=소비자경제DB)

실제로 수입품의 경우, 필수적으로 받아야하는 KC인증과 에너지소비효율등급 등을 받고는 국내 공기청정협회가 자율적으로 인증 후 부여하는 CA인증(집진효율, 탈취효율, 소음 등)이나 국내 검사 기관의 성능검사 등은 거치지 않는다.

사실상 소비자들은 별다른 성능 인증기관을 거치지 않은 수입 공기청정기를 업체의 설명만 믿고 고가를 주고 구매해야 하는 상황이다. 

가전업계에서는 2013년 3000억원 규모였던 공기청정기 시장은 지난해 1조원, 올해 1조5000억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한다. 국내에서 황사와 미세먼지가 늘어 공기청정기 구입량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피해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환경부 생활환경과 관계자는 <소비자경제>와의 통화에서 “정부 기관에서 특별히 성능검사를 주도 하는 것은 없는 것으로 안다”며 “공기청정협회의 CA마크 또한 자율적으로 심사받고 부여받는 것으로 강제성은 없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