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로사 논란 7호선 ‘승무원 2인 체제’로 전환 ‘심야운행 단축’ 검토

앞으로 지하철이 '정시성'보다 '안전'에 역점을 두고 운영하게 된다.

[소비자경제=이창환 기자] 서울시가 8일 잦은 사고로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지하철 운영에 있어 ‘정시운행’이 아닌 ‘안전’에 방점을 찍고 관련 대책을 내놓았다.

그동안 철저한 ‘시간엄수’에 주안점을 두고 있던 지하철이 운행 및 승객 ‘안전’을 우선으로 운영하며 고객상담실은 ‘안전센터’로 개편하게 된다. 이를 위해 7호선이 도철 구간으로는 처음으로 승무원 2인 체제를 시범적으로 운영한다.

서울시는 이날 ‘서울 지하철 안전보강대책’을 내면서 “운영기관별·호선별로 따로 운영되는 현행 관제시스템을 공간적·기능적으로 통합해 유사시 신속하게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올 4월 기본 설계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상반기 중 ‘통합 서울교통공사’가 출범하는 만큼 ‘스마트 통합 관제시스템’을 2023년까지 구축하고 안전관리인력도 역마다 2명씩 늘리고, 지하철 보안관 50명을 충원한다.

서울시는 “국내·외적으로 무인 승무가 확대되고, 서울 지하철 역시 ATO 시스템이 없는 코레일·서울메트로 구간만 2인 승무를 하고 있다”면서도 “1인 승무 기관사의 업무 부담과 비상 상황 대처능력 저하를 이유로 2인 승무제 도입 요구가 이어져 이달부터 1년간 시범 도입해 검증한 뒤 확대 실시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또 “차량 고장 시 관제보고보다 승객안내방송을 먼저 하겠다”며 “단전 시에도 승객 안내를 할 수 있도록 2020년까지 무정전 방송장치를 2942량에 확대 도입한다”고 밝혔다.

비상시 대피 요령 등을 알기 쉽게 담은 ‘시민안전 행동 매뉴얼’을 만들어 현장 안전관리실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시스템을 도입한다.

‘정시성’ 보다는 ‘안전’을 중심으로 지하철 운영이 옮겨지면서 운영기관 평가에서도 안전이 강조될 수 있도록 정부와 협의해 이상 상황 발생 시 안전조치를 마친 뒤 운행을 재개하도록 개편한다.

특히 승강장 내 열차 사고 시 출입문을 모두 열어둔 채 승객 대피를 우선으로 하고 전동차에서 연기가 일어났을 때도 전동차 화재 상황과 동일하게 대피하고 화재 신고를 하게 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정부 평가 시 정시성이 평가 기준이던 것을 안전으로 바꿔야한다고 협의할 것”이라며 “안전이 현장에서 지켜지는 경영 기준으로 전환되도록 시스템이나 매뉴얼을 바꾸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노후시설 재투자를 위한 공사채 발행 등 주무 부서인 행정자치부에 발행 기준 개선을 요청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