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한해 34억 투입...국민서비스 계획 말뿐 현재 연구용으로 존재

▲ 14년 발표된 '스마트빅보드' 영상 캡쳐. (출처=국민안전처)

[소비자경제=나승균 기자] 지난 12일, 19일 발생한 경주 지진으로 재난 경보 시스템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4년간 심혈을 기울여 추진해 왔던 첨단 재난 상황실 '스마트빅보드'가 정작 재난상황에서 무용지물로 방치돼 논란이 일고 있다.

최근 경주 인근에서 발생한 지진은 그동안 지진 안전지대라는 통념을 깨며 전국민을 충격과 공포로 몰아 넣었다. 더욱이 향후 지진이 계속 발생할 것이란 다양한 추측이 남무하면서 국민들은 지진에 대한 정부의 조속한 대처를 요구하고 있다.

무엇보다 지진의 초기 대응이 중요한 시점에서 지진 발생 경미한 징조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기술과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발생 후 공공기관의 재빠른 전파와 명민함은 물론이다.

정부는 지난 세월호 참사 이후, 각종 재난에 발빠르게 대처하기 위해 '스마트빅보드'를 2014년 7월 만들었다. '스마트빅보드’는 2013년 8월 국민안전처 산하 재난안전분야 연구기관인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1년여의 시간을 들여 개발한 재난관리 시스템이다. 2015년에는 34억원을 들여 '스마트빅보드' 확산과 성능 개선 및 지자체 확산 등을 꾀했다.

이 기술은 기상청 날씨정보와 지진·해일 정보 등 12개 기관 31개 빅데이터를 연계시키고, 스마트폰을 활용한 페이스북, 트위터 등 실시간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정보를 하나로 통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부는 2014년 7월 '스마트빅보드' 발표 당시 2016년까지 확대보급해 국민서비스 기반을 구축하고 2017년 이후 국가 재난안전 상황관리 네트워크 구축과 산업화에 나선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2년이 지난 현재까지 정부는 '스마트빅보드'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채 연구목적으로만 사용하고 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팀의 한 관계자는 “2014년 7월께 공개한 스마트빅보드는 기본적으로 공개용이 아닌 연구목적으로 개발이 된 것이다”라며 “콘텐츠를 확보하고 있는 상황이고 애초에 목적이 대국민 및 현업 사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는 당시 정부의 발표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이야기다. 

이어 “필요한 기관에 ID를 발급해서 지금도 사용중이다. 또 지진 콘텐츠는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라고 덧붙였다.

연구원은 현재 부산과 대전, 전북에 위치한 테스트베드는 전자 지도위에 지방자치단체의 원천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스마트빅보드’가 구성 정도의 한계적 활용도 뿐이란 것이다. 다시말해 완성 개발중인 ‘스마트빅보드’의 베타 버전이 아니라 ‘스마트빅보드’ 콘셉트 및 구성을 빌려 활용한 것이다.

대국민용으로 상용화하기에는 여전히 멀었다는 것이다. 현재 스마트빅보드는 정부산하 기관이 요청하면 ID를 발급해주고 이용토록 하는 정도로 사용될 뿐이다. 

문제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개발했던 ‘소셜 빅보드’ 역시 활용도가 요원하다는 점이다. ‘소셜 빅보드’는 재난 발생시 SNS에서 시민들의 반응을 살피고 이를 추산해 재난이 어떻게 발생되고 진행되었는지에 대한 추이와 방역상황을 현장감 있게 전달하는 역할이었다. 

그러나 현재 '소셜 빅보드'는 국민안전처에서 발간하는 월간 보고서의 국민안전체감도 설문조사의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될 뿐이다.

▲ 14년 발표된 '스마트빅보드' 영상 캡쳐. (출처=국민안전처)

여론이나 정황은 설문조사로 파악이 안돼 트위터 원문 분석을 통해 세세한 파악을 시행한다. '소셜 빅보드'는 올해 상반기부터 사용됐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현업에 쓰이는 부분은 부처에서 발간하는 보고서를 지원하는 부분”이라며 “지진이 발생했을 때 어떤 반응이 올라오고 처음 제보된 트위터가 몇 분에 올라왔는지와 같은 시스템상 (현재 재난이 일어났는지)분석은 가능하지만 국민안전처에 실시간 반응을 제공하고 이에 빠른 시간 내 조사 동기를 제공하는 것은 전혀 활용이 안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소셜 빅보드’를 추후에 재난 발생시 실시간으로 접하고 바로 국민안전처에 연계해 제보하는 등의 방안을 내부에서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와 달리 일본과 미국 등 지진이 많이 발생하는 나라는 좀 더 체계적인 지진 예방 시스템을 갖췄다.

일본은 2006년부터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으며 지진이 발생하기 전 경보를 한다.

일본의 ‘YUREKURU’란 지진 경보 앱은 지난 12일 경주의 지진을 282초 전에 경보했다고 한다. 야후 재팬의 재해·날씨 사이트에 가장 먼저 한국의 지진 정보가 등록됐다.

또한 미국의 경우 서해안과 태평양 연안 북서부를 위한 ‘Shake Alert’라는 어플리케이션을 미국 지질 조사국에 의해 개발했다.

2012년 1월부터 베타 버전을 통해 서비스하고 있다. 스마트폰 내 GPS 정보들을 추합해 여러 사람의 GPS가 흔들리는 등의 이상이 생기면 경보를 알려주는 것이다.

 

나승균 기자 npce@dailycnc.com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