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과 넷마블의 지스타 2022 첫날 현장. 점심시간 직후 촬여오딘 영상으로, 이미 혼잡했음을 알 수 있다. [사진=권찬욱 기자]
넥슨과 넷마블의 지스타 2022 첫날 현장. 점심시간 직후 촬여오딘 영상으로, 이미 혼잡했음을 알 수 있다. [사진=권찬욱 기자]

지난 20일 4일간의 장대한 일정을 진행한 지스타 2022가 막을 내렸다.  ‘다시 한 번 게임의 세상으로’라는 주제로 진행된 사흘간의 여정 속  약 18만명에 달하는 관람객들이 현장을 찾았고, 오랜만에 국내외 게임사들이 대거 참가해 저마다 신작을 소개하고 이를 직접 해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외에도 볼거리, 즐길거리 역시 풍성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약 550여명의 보안 인력들의 안전을 위한 숨은 노력도 빛났다. 얼마전 이태원 참사 이후 어떤 행사든 간에 보안 인력을 증강하고 이에 많은 신경을 썼는데, 매년 지스타에 참가하는 기자의 의견으로는 현장은 사고나기 딱 좋은 환경이긴 했다.

지스타가 열리는 벡스코의 경우 우선 한 전시장에서 진행되는 것이 아닌, 제 1전시장과 2전시장을 왔다갔다 하는 등 동선 자체가 길었다. 이를 위해 이용하는 구름다리 자체는 넓지만 구름다리 끝에 위치한 2전시장의 구역은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좁은 구역이 나온다. 2전시장의 지스타 전시관은 해당 에스컬레이터를 꼭 이용해야 하고, 에스컬레이터는 두줄짜리가 아닌 한줄짜리에 경사도 가팔라서 정말 조심해야 했다.

지스타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해당 구역에 보안인력을 적극적으로 배치해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람들이 다닥다닥 붙어서 에스컬레이터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간격 조정을 도왔으며, 필요하다면 에스컬레이터 입장을 잠시 막고 이동을 정리하기도 했다. 반대로 제 1전시장 내부나 야외에서 구름다리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보안 인력이 배치되어 사고에 대비하는 모습도 보였다. 

예년과 달리 지스타 관람을 위한 표 예매를 벡스코가 아닌 외부에서 진행한 것도 현명한 처사였다. 올해 지스타 현장 표 예매는 벡스코 내부나 야외가 아닌 아예 횡단보도를 건너면 나오는 넓은 공터에 마련이 되었는데, 행사 첫날이었던 목요일부터 인파로 가득 메워졌다. 만약 내부나 벡스코 야외에서 진행되었다면 사고가 나지 않았더라도 혼잡을 피할 수는 없었을 것이고, 벡스코 앞마당에서부터 관람객에게 심적 부담을 주고 통제가 힘들었을 수도 있다. 당장 보안 요원이 벡스코 야외와 예매 현장에도 많은 수가 있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이같은 생각은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일부 업체들이 야외부스를 설치한 것도 전시장의 인파를 분산하기 위한 조치로도 보인다. 앞서 말했듯이 올해 지스타 전시장 내부에는 각 부스마다 대규모 시연공간이 마련됐고, 이와 동시에 특설무대가 마련되어 저마다의 방송 프로그램을 현장에서 진행했다. 방송 프로그램에는 연예인과 아나운서, 성우, 유명 크리에이터 등이 출연했으며 대개 팀 대항전 등의 콘텐츠가 이어졌다. 이 밖에도 호요버스 등 일부 부스에서는 굿즈 판매가 진행되기도 해다. 

이 때문에 각 부스는 ‘시연을 하기 위한 긴 줄’과 ‘방송을 보거나 참여하기 위해 모인’ 인파가 양쪽으로 몰릴 수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넥슨과 네오위즈 등은 야외 부스를 설치해 그곳에서도 이벤트를 진행했고, 이러한 생각이 통했는지 이곳에서도 줄이 길게 늘어서면서 결과적으로 본 전시장 내부가 덜 혼잡한 상태가 되었다.

올해 지스타의 뒤에 따라 붙는 ‘정상 개최’는 그동안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위축됐던 지스타에 대한 관람 및 소비 심리가 한번에 터져나올 수 있었다는 소리였고, 이에 대한 우려 역시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상황에서 충분히 나올 수 있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우려는 보기 좋게 불식됐고, 결과적으로 4일 내내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기자는 이번 지스타의 관람객 중 한명으로서 안전을 위해 노력한 조직위와 보안업체 직원들, 그리고 각 게임사들의 노력에 감사를 드린다.

소비자경제신문 권찬욱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