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이후 2년만에 108% 증가…동력장치 등서 결함 많아
소비자주권 “품질 관리·피해 최소화는 완성차업체의 의무”
“소비자 피해사례 없도록 신차 테스트· 검수 의무화해야”

지난 4월 국내서 리콜이 결정된 폭스바겐 골프. 해당 차량은 연료 레일 고정 볼트 체결 불량으로 연료가 새고, 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 [사진=폭스바겐]
지난 4월 국내서 리콜이 결정된 폭스바겐 골프. 해당 차량은 연료 레일 고정 볼트 체결 불량으로 연료가 새고, 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 [사진=폭스바겐]

최근 3년간 신차결함률이 가장 증가한 자동차업체는 현대자동차와 폭스바겐인 것으로 나타났다. 

테슬라 SW 오류와 벤츠 배출가스 조작 등 자동차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소비자주권시민회의(이하 소비자주권)는 각 완성차 업체들의 신차 결함률이 최근 3년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면서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4일 소비자주권이 자동차리콜센터의 통계자료를 인용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국산·수입차의 결함 신고근황이 1만 8452건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9년에 비해 2021년에는 신고 건수가 무려 108%나 증가해 신차결함률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모양새다. 

해당 통계를 살펴보면 국산차는 1만 2415건, 수입차는 5944건의 신고건수를 기록했다.

국산차의 경우 현대차가 5175건으로 전체의 약 41.7%를 차지했으며, 기아(29.7%)와 르노코리아 1585건(12.8%)가 그 뒤를 이었다. 수입차의 경우에는 폭스바겐이 1627건으로 27%를 차지해 신고율이 가장 높았고, 벤츠(947건·16%)와 BMW(947건·16%)가 그 뒤를 이었다. 

[자료=소비자주권시민회의]

결함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치는 동력발생 장치(PPD)로 확인됐다. PPD는 엔진· 연료 장치· 냉각 및 급유 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차량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총 6875건, 전체의 32.8%를 차지했다. 이밖에는 조향장치가 3049건(14.5%), 동력 전달 장치 1994건(9.5%)순으로 나타났다. 해당 신고건수를 모두 합하면 1만 1918건에 달하며, 전체의 56.8%에 달한다.

이 밖에도 차량에 탑재되는 기능·장치가 다양해지면서 여러 결함 사유가 등장하고 있다. 일례로 국토부의 자료에 따르면 벤츠 EQA250은 에어백 제어장치 소프트웨어의 오류로 사고 발생 시 사고기록 장치에 일부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는 안전 부적합 사항이 확인됐으며, 쏘렌토 하이브리드 등 현대·기아차에 탑재된 ‘스마트스트림 1.6T 하이브리드 엔진’은 엔진오일 비정상 증가 문제가 제기됐다. 

[자료=소비자주권 시민회의]

소비자주권은 이에 대해 “운전자의 안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부품·요소들에 대한 품질 개선·관리가 시급하다”면서 “완성차 업체는 신차 테스트 및 검수에도 많은 시간을 투자해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현재 제조사들은 차량에 문제가 있을 시 신고내역을 바탕으로 조사를 벌이거나 자발적인 리콜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주권은 리콜만이 능사가 아니라면서, 매해 결함 신고율이 증가하는 상황에서는 수준 높은 품질 관리 및 테스트로 차량의 결함률을 최소화하는 것이 의무라고 주장했다. 소비자가 구매한 차량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받고 피해를 보는 상황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배창범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소비자감시팀 간사는 “최근에 신차가 늘어나면서 전자적인 부품이 많이 늘어났다”면서 “레몬법도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완성차업계는 품질 관리를 더 신경써서 차량 결함률을 최소화 하는게 지금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의 방법일 것이다”고 말했다.

소비자경제신문 권찬욱 기자

[사진=소비자주권시민회의 홈페이지]
[사진=소비자주권시민회의 홈페이지]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