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개 판매사 중 대형사로는 최초
투자자 보호 위해 조직개편도 시행

▲ 금융정의연대 회원과 라임사태 피해자들이 지난 3월 26일 서울 중구 신한은행 본점 앞에서 펀드 판매사인 신한금융투자에 대한 철저한 검찰조사와 피해액 전액 배상을 촉구하고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의 연임을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출처: 연합뉴스
라임자산운용 펀드 피해 관련 시위. 사진=연합뉴스

라임사모펀드 사태에 대한 금융권의 투자자 보상 움직임이 본격 가시화됐다.

20일 신한금융투자는 “자사를 통해 라임자산운용 펀드에 가입했다 손해를 입은 고객에게 국내·무역금융펀드 개방형은 원금의 30%씩, 무역금융펀드 폐쇄형은 70%를 보상한다”고 밝혔다. 라임펀드 환매중단 사태와 관련해 판매사가 자발적으로 손실 보상에 나선 것은 신영증권에 이어 두 번째 사례며, 대형사로는 최초다.

무역금융펀드 중 자발적 환매가 불가한 폐쇄형 펀드는 투자설명서에 대한 충실한 설명이 필요했음에도 설명이 미흡하였던 점을 고려해 보상비율을 다르게 적용했다는 게 신한금융투자의 설명이다.

국내 펀드는 손실액 기준, 무역금융펀드의 경우 원금을 기준으로 보상이 이뤄지며, 추후 금융감독원의 분쟁조정 결과에 따라 재정산을 하는 형태다. 신한금융투자는 이와 같은 자율보상안을 바탕으로 고객들과 합의 후 최종 보상금액을 결정할 예정이다.

그간 회사는 라임펀드에 투자한 고객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고민해 왔으며, 책임경영 실천과 고객 신뢰회복을 위해 선제적으로 자발적 보상안을 내놓았음을 밝혔다. 더불어 향후 법적 절차 진행 등을 통해 라임에 대한 고객 자산회수에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보상과 동시에 고객 신뢰 회복과 투자자 보호를 위해 조직개편에도 신한금융투자는 팔을 걷어붙인다.

해당 이슈를 일으킨 부서에 책임을 붇는 차원에서 신탁부는 일정 기간 신규 대체투자 상품공급을 중단하고 기존 발생한 관련 상품의 이슈 해결에 주력할 계획이다. PBS(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사업부는 전문사모펀드에 대한 기본적인 서비스 제공업무(자금대출, 주식대여, 자산보관, 결제 등)에 집중하도록 하는 등 기존 사업 범위를 자체적으로 축소했다.

이와 함께 회사업무 전 분야에 걸친 위험성을 총체적으로 분석, 시스템화해 관리할 운영리스크 전담조직을 신설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투자자 보호를 위해 상품공급 및 상품관리 부서에 대한 조직개편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상품감리부는 금융소비자보호 본부로 이동해 독립된 금융소비자보호 총괄책임자(CCO)체제 아래 더욱 객관적으로 상품을 심사하고, 고객입장에서 상품의 운용상황을 관리하게 된다.

이영창 신한금융투자 대표는 “고객 신뢰회복을 최우선 과제라고 생각하며 막중한 책임을 느끼고 있다”라고 밝히고 “상품과 관련한 이슈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하고 상품 사후관리가 체계적으로 운영되도록 소비자 보호 및 사후관리 체계를 업그레이드해 강력한 상품관리 시스템을 마련하는데 회사의 모든 자원을 집중하겠다”고 설명했다.

소비자경제신문 김슬기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